-
-
과학이야기 - 한 권으로 읽는 500년간 과학발견의 하이라이트
잭 챌로너 지음, 서울과학교사모임 옮김 / 북스타(Bookstar) / 2014년 3월
평점 :
생각해보니 어렸을 때부터 가장 관심도 없고 재미도 못 느꼈던 과목이 과학이었던 것 같다. 못하고 몰랐던 과목이 과학 하나뿐은 아니었으나 그래도 다른 과목은 모르면 안타까운 마음이나마 있었던 것에 비해 과학은 아예 알고 싶은 마음도 없었던 것. 그래서인지 과학이야기를 들고 책을 읽는동안 내가 모르는 이야기가 얼마나 많고 첨듣는 과학자 이름이 어찌나 많이 나오던지 원.
하드커버로 된 이 책은 삽화와 사진도 많은데 500년간 과학 발견의 하이라이트들을 엮어 놓아 백과사전 같은 느낌도 들었다.
27가지의 에피소드가 나와 있는데 지구, 진공, 현미경으로 보는 세계, 하늘, 전기 유체, 공기, 전기와 자기의 연관성, 에너지, 빛, 원소, 원자보다 작은 것들, 상대성 이론, 유전, 우주, 입자, 유전자, 종의 기원... 이런 얘기들이 나온다.
음... 나는 뭐 소제목만 봐도 어려웠다. 읽어봤더니 이해가 되는 것도 있고 여러번 읽어서 알듯말듯한 것도.. 어렵게 쓰였다기 보다는 과학의 하이라이트를 엮은 책인데 읽는 내가 너무 무지해서였다고 봐야 맞는 것 같고 과학을 배우는데에 있어서 이런 책을 통해 크게 간추려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 뼈대가 미리 서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각 에피소드를 두장 정도에 걸쳐 설명을 해 주고 있기 때문에 상대성 이론을 쉽게 설명해준 것을 읽었을 경우 상대성 이론이란 게 그런 것이로구나 정도의 이해를 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 이 책을 통해 설명하는 각각을 구체적으로 잘 알게 되는 것은 아닐 듯 싶다.
발명이나 발견이 일어난 시대를 표기해 밝히고 있고 시대순으로 나열되어 있어서 한눈에 그간의 과학의 역사가 짐작이 된다. 사실 우리는 이미 자연스럽게 생활속에서 그 모든 것들을 누리고 있고 그 당시에는 특별한 발명과 발견이었을 것을 지금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그 발명으로 인해 우리의 삶이 얼마나 발달되고 편리해졌는지에 대해서 고맙거나 신기하게 여기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옛날 풍부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찾아낸 발명과 발견들은 참으로 놀라우며 또한 지금의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되었음을 생각해 볼때에 보다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을 통해 더 발전시켜야 하겠다는 생각도 하게 해 준다.
서울과학교사모임에서 엮은 책이라 설명이 충분하고 분명하나 썩 재밌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이 과학 자체의 흥미와 재미가 있을 뿐.
하지만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겐 이 책이 내가 느꼈던 것과는 다를듯. 우리 아이들은 아직 어려서인지 글밥이 많은 걸 보고 어려워 했다. 초등 고학년이상부터 읽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