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엄마는 나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했을까? - 불량한 유대인 엄마의 유쾌한 엄마 노릇
질 스모클러 지음, 김현수 옮김 / 걷는나무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왜 사람들은 미혼인 여자에게 (남자에게도) 빨리 결혼하라고 말하는 걸까?
왜 사람들은 결혼과 동시에 '좋은 소식' 없냐며 아기가 생길때까지 묻고 또 묻는걸까?
왜 이미 아기가 있는 나에게 또 터울 잘 맞춰서 그 아이의 동생을 낳아주라고 말하는걸까?
이성을 소개해 주지도 않으면서 빨리 시집 장가가라며 등 떠미는 사람,
아기 낳아도 자신과는 아무 상관도 없음에도 만날 때마다 아기 소식 없냐고 묻는 사람,
아이 한번 안아준 적 없으면서 둘째나 셋째도 낳으라고 권하는 사람
이런 사람 진짜 많다.
그런데 그걸 부당하고 화가나는 일이라고 여기면서도 사실은 나 역시 그러고 있을때가 많다. ㅡ.ㅡ;;
아니 나는 또 왜...?
왜 엄마는 나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했을까?
이 책은 정말 제목부터 딱 '엄마'였던 경험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어떠한 육아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나 정보도 얻는 게 없다.
하지만 어떠한 육아서보다 유쾌하고 재미있었다.
아 다들 이렇게 생각하고 사는구나. 나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
나보다 더 심한 불량 엄마도 있네. 하는 공감과 안도감 같은 것도 느끼고
뭣보다 세계에서 가장 육아를 잘하기로 소문난 유대인 엄마조차도 엄마로서의 삶은 나와 별반 다르지 않구나 하며
본 적도 없는 이 책의 저자가 친구처럼 여겨지기까지 했다.
그래서 그런지 이 글을 쓴 질 스모클러는 엄마들의 오프라 윈프리, 미국내 가장 영향력 있는 육아 멘토,
유명한 블로거 그리고 이런 책들의 저자이기도 하단다.
그녀의 글을 통해 위로와 공감을 많이 느낀 모양이다. 게다가 재미까지 있다.
다만 나는 이미 아이를 셋이나 낳아 키우고 있는데다 큰아이가 열살쯤 되는 형편이고보니
이 책을 읽으며 끄덕거리고 눈물나게 공감하고 도움을 받고 내 얘기도 늘어놓고 싶고... 하는 단계는 지나간 듯 싶다.
그렇게 다 겪었으면서도 시간이 흐르고나니 그때의 그런 일쯤은 또 다 잊혀지더라는 것...
하지만 이 책은 이런 경험을 한번도 겪어본 적이 없고 겪어볼 일이 아예 없는 남자들, 아빠들이
꼭 한번쯤은 읽어봤음 좋겠다.
여자들, 엄마들은 나중에야 잊어버리든 어떻든 다들 겪는 일이니 공감하고 위로받고 용기를 얻다 끝나지만
정작 이 사실들을 제대로 알고 어떤 도움을 줘야 진정한 도움이 되고 위안이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이에 대한 책임이 아무리 적어도 50%는 틀림없이 갖고 있는 아빠들, 남자들이 알고
반드시 돕고 이해해 줘야만 한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남자들이 이 책을 읽을까?
무슨 소리인지 마음을 열고 이해하며 과연 이 책을 읽기는 할까?
어쨌거나 늘 뭔가 가르치려 들고 읽고나면 주눅이 들거나 반성이 되는 육아서와는 다른 책.
읽고 나면 되게 유쾌해지고 그래 한번 잘해보자 다들 그렇게 사는거지 하는 용기를 주는 책.
왜 엄마는 나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했을까?
가만.. 그런데 울 엄마가 내게 아이를 낳으라고 하신 적이 있었던가?
생각해보니 내가 아이 낳을때마다 축하해 주시고 산후 도우미 해 주시고 육아까지 나눠 해 주셨음에도
내가 아이 낳아 키우며 고생하는 걸 나 자신보다 더 가슴아파 하셨으며
그러고보니 울 엄만 내게 아이를 낳으라고 하신 적은 없었던 듯 싶다.
낳지 말라고 하신 적도 없긴 하지만.
아이를 낳아 키운다는 것은 틀림없이 많은 희생과 체력과 지식과 사랑이 필요하지만
그리고 전적으로 그 모든 걸 다 갖추고 엄마가 되는 그런 사람들은 또한 없지만
그래서 다들 처음엔 어려워 하고 더 나은 엄마가 되고싶어 노력하다 때론 좌절도 겪지만
실수할 수도 있고, 어려운 게 당연하며 그렇게 키우면서 행복감도 성취감도 맛보며 엄마인 자신도 자라간다는 것.
나 자신의 행복도 가꿔가면서 내가 할 수 있는 힘껏 오늘도 즐겁게 아이를 키우는 것.. 그런 게 필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