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스로 답을 찾는 수학 공부법 -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입시 로드맵
정진우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수학이 어려워." "수학이 제일 싫어." 기말시험을 앞둔 아이들이 이렇게 말했다. 벌써부터 그러면 어쩐다지? 하는 걱정이 되면서 더 큰 걱정은 그래서 내가 해 줄 수 있는 게 무엇인지 모르겠더라는 사실이었다. 수학공부법에 대한 책을 이미 몇 권이나 읽었고 수학을 꾸준히 하도록 해 왔는데도 아이들 입을 통해 그런 말을 듣고 나니 막연해졌다. 공부법에 관한 책을 내가 수백번을 읽는다한들 아이들 수학실력으로 연결시키기란 어려운 일임을 안다. 나 뿐 아니라 수학을 공부 중인 아이들이 직접 읽었으나 공부법을 아는 것과 공부를 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 누군가는 저렇게나 열심히 했구나 하고 잠시 자극을 받는 것. 그게 전부였던 것 같다. 그래도 학년이 낮은 둘째와 막내는 수학을 싫다고 한 것에 비해서는 수학점수가 좋았다. 문제는 발등에 불 떨어진 큰애가 수학시험을 치르고 돌아와 "망했어." 라고 했다는 거. '그래 공부를 그렇게 했는데 수학성적이 잘 나올리가..' 이런 생각이 들었지만 입밖으로 내지는 않았다. 대신 나는 이 책을 읽었고, 읽으면서 그리고 다 읽고난 지금 여러가지 생각을 하고 있다.
"스스로 답을 찾는 수학공부법" 이 책은 제목에서 드러내는 대로 스스로 답을 찾는 수학공부에 대해 얘기하는 책이다. 저자의 자전적(?) 에세이 같은 느낌도 들었다. 그 경험과 저자의 삶 그리고 태도에서 배울 점이 많았다. 곁에 있다면 애쓰며 잘 살아왔다고 박수 치며 응원해주고 싶을 만큼.
수학공부법 내용보다 저자의 진솔한 얘길 아이들에게 더 들려주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였다. 수학공부법에 대해서도 반복해서 자세히 설득력 있게 상세히 소개하고 있는데 조금씩 부분적으로 소개해보자면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정리를 확실히 할 것.(남에게 가르칠 수 있을 만큼,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개념문제만 풀지 말고 수능형 문제풀이도 잘 해결할때까지 할 것.(문제집에 바로 푸는 것 보다 노트를 곁에 두고 풀면서 틀린 문제는 다시 해결), 오답노트보다는 오답책으로 활용할 것. (오답노트를 쓸 수 있으면 좋지만 현실적으로는 그걸 다 쓰고 다시 공부할 겨를이 거의 없어서), 강의를 보는 것을 자신이 공부한 것으로 착각하지 말 것.(수영선수가 수영하는 것을 보는 것 만으로 내가 수영을 잘 하게 되는 것이 아닌 것처럼), 그리고 해답지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저자가 현재 학생들을 지도하는 입장이다보니 굉장히 현실적으로 입시를 대비하는 자세나 학습방법에 대해 잘 설명해주고 있고 수학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부여부터 하는방법과 학생들이 그 결과 꿈 꿀 수 있는 미래까지 얘기한다. 학생들이 읽는다면 자신이 해 온 수학공부법과 비교해서 좋은 점은 취하고 공부계획도 다시 세워보는 등 도움이 되겠다. 뭣보다 저자의 격려가 학생들에겐 위로와 힘이 되어줄 것도 같다. 워낙 수학 문제집이 많아서 내 아이에게 어떤 책을 골라주어야 하는 지조차 어려워 할 사람들에게 가이드가 될만한 부분도 있고 수학계통도가 따로 들어있어서 가닥을 추리기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좋았다. 부디 방학동안 아이들도 이 책을 읽고 자신에게 맞는 수학 공부법으로 낙심하지 말고 공부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