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힘들었다는 너에게 - 나는 돌아보는 태도의 힘을 믿는다
신소영 지음, 봉지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7월
평점 :
'이렇게 솔직하게 써도 되는 것일까?' 책 읽어가며 계속 했던 생각이다. 내가 이 책의 저자를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 아닌데도 어쩐지 저자의 비밀(?)을 지켜줘야 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들 지경이었다. 하긴 저자가 책으로 써 냈으니 더이상은 비밀이 아닐진대 그럼에도 나는 그런게 공연히 염려가 되었다. 그 정도로 이 책의 내용은 저자의 삶을 바탕으로 하여 굉장히 솔직한 얘기와 심정이 담겨있었다.
프롤로그에서도 밝히길 '이렇게까지 솔직해도 괜찮은건가?' 라는 말을 책을 내면서 가장 많이 들었다고 했다. 그러나 그렇게 했기 때문에 솔직하게 자신을 대면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를 위로했고 치유되었고 더 나은 인간이 됨을 느꼈다고 한다. 이 책을 읽는 독자 역시 이 글을 읽어가는 동안 자신을 둘러싼 가식을 걷어내고 스스로를 솔직하게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게 되거나 글에 공감하는 사이, 부지불식간에 격려를 받은 느낌을 받게 될 것 같다. '너도 그랬니? 나도 그랬어. 우린 저마다 다르고 그래서 서로를 이해하기 힘들거나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이 다들 조금씩은 서툴지. 이해해.' 이런 류의...
그러면서 생각해 보았다. 나는 얼마나 솔직한가 하고. 비교적 솔직하다고 생각했으나 적당히 걸러내거나 말을 삼가할 때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오히려 누가 보는지 알 수 없는 sns에는 tmi에 가까운 사진과 글을 올렸던 적이 있었던 반면 정작 오프라인에서 관계를 맺는 사람들과는 상당히 조심하는 등 모순된 모습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내 글이나 사진을 본 누군가가 나의 솔직함(?)에 당황하지는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것은 무지인가, 용기인가, 아님 관계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서인가.
생각이 여기까지 미친것은 책을 읽으며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저자는 그간의 관계와 과정을 털어놓음으로써 후련했고 무엇을 비우고 무엇을 채워야 할 지 깨달았다고 했다.
내 일상을 더 이상은 어느 누구에게도 터놓고 얘기하지 못하고 있는 나는 그래서 더욱 저자의 용기(?)가 놀랍기도 하고 부러웠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나를 힘들어하는 누군가에게 내 모습을 고백하고 다가설 진심과 용기가 있는지. 누가 나를 힘들어하고 왜 힘들어하는지에 대해 생각이라도 해 본 적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돌아보았다. 내가 누군가를 힘들게 여기고 상대가 바뀌길 바란 적이 더 많았던 거 아니었는지. 세상 무엇이든 그렇지만 관계 역시 정성을 다해 가꾸어가야 하는것이 아닐까 싶다. 내 일상을 정성스럽게. 타인과의 관계도 소중하게 여기며 정성을 다하여. 내가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
p.27 내가 옳은 방향으로 살고 있다고 자부한다고 해도 한 가지만은 기억하자. 나도 누군가에게 개새끼일 수 있다.
p.39 나 스스로를 인정해야 하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의 인정도 필요하다는 것. 이 두 가지가 잘 맞물려야 사람은 건강하게 작동된다는 것을 배웠다. 결국 괜찮아진다는 건,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인정 속에서 자신의 가치에 납득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가는 것.
p.46 나중에는 솔직하게 말했다. 당신의 침묵이 배려라고 하겠지만, 당신의 원인 모를 침묵을 견뎌야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벌서는 심정이라고. 계속 눈치를 보게 하는 건 감정적으로 폭행하는 것과 같다고.
p.48 현재 자신의 감정에 상관없는 사람들에게는 감정을 전이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쉽게 말해 엉뚱한 곳에 화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분노는 대개 나보다 약자를 향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p.92 생일날 받은 "좋은 사람과 함께 즐거운 시간 보내"라는 문자에 '그 좋은 사람이 너이면 왜 안 되는 걸까?'라며 서운해 했지만, 이미 답을 알고 있다. 심심하지 않은 비결, 좋은 관계를 오랫동안 이어가는 비결은 내가 먼저 '그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는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