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공부는 문해력이 전부다 - 내 아이를 바꾸는 문해력 완성 3단계 프로젝트
김기용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공부 문해력이 전부다.
목적에 따라 글을 읽고 필요한 내용을 이해하는것을 문해력 이라 부른다. 더 나아가 의사소통을 할 때나 실생활에서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응용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문해력은 이해력과 달리 자연 스럽게 길러 지지않으며 독서,글쓰기,문제풀이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길러야 하는 능력이다.

얼마전 EBS 방영되었던 문해력 재방을 보고 문해력 테스트도 해봤는데..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내가 이렇게나 문해력이 없었구나.싶었다. 과연 아이들은 잘 따라오고 있는건지 궁금하기도 했고 문해력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다.

문해력은 공부뿐아니라 살아가는데도 필수적인데 왜 이걸 그냥 지나치고 있었나 싶다. 책을 열심히 읽긴 하지만 읽고 나서 스토리를 얘기해 달라고 하면 기억이 안난다고. 수학문제를 풀다가도 이해가 안된다고 엄마를 찾는다. 문제를 다시 잘 읽어보고 다시 얘기해달라고...그치만 여전히 이해를 못하겠단다.

도대체 뭐가 문제인걸까??답답하기만 하다.

줌수업을 하며 반친구들이 발표하는걸 옆에서 지켜봤는데 다들 생각주머니가 크더라. 발표하는것만 들어도 아~이친구는 책을 많이 읽고 있구나!딱 느낌이 온다. 어휘선택부터 다르다.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의견을 잘전달하고 표현할수 있었으면 좋겠고. 창의력이 풍부한 아이로 크길 바란다.

부모가 바람직한 길잡이가 되어야하고 노력해야한다. 부모의 역할은 잘하는것을 더 잘하게 만들어 다소 부족한 부분이 보완될수 있도록 도와주고 관람자나 방관자가 아닌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문해력 키우기3단계
1.풍부한 어휘를 익혀라
2.매일 글쓰기의 힘
3.자존감과 공부 습관으로 문해력완성
⬛아이의 자존감 높이는 3가지 방법
▪️아이에 대한 믿음 갖기ㅡ올바른 대화습관을 통해 아이에 대한 신뢰를 표현해 주기.
▪️아이의 자율성 기르기ㅡ사실과 감정만 전달한다는 원칙만 지켜도 아이의자율성은 길러진다
▪️작은 성취감(1일1칭찬)갖게 하기

아이의노력과 부모의 관심이 필요할때.
초저부터 습관을 만들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