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잎싹’잎사귀라는 뜻으로 바람과 햇빛을 받아들이고, 떨어진 뒤에는 썩어서 거름이 되고, 향기로운 꽃을 피워내는 일을 한다. 결국 나무를 위해 무엇인가 하고 있는 것이다. 책 속에서 알게 된 이 말이 처음에는 낯설기만 했는데 책을 다 읽고 나서는 든든함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 책은 작가가 유년시절의 기억을 통해 삶을 표현하고, 아이들과 더불어 성장하고자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 동화라고 하기에는 다루고 있는 내용이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가 있어서 읽는 동안 내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잎싹은 난종용 암탉으로 양계장의 철망 속에 갇혀 알을 낳아야 했다. 철망 속에서 나가는 것은 물론 알을 낳는다 해도 품을 수 없는 생활 속에서 잎싹은 단 한번만이라도 알을 품어 병아리의 탄생을 보고 싶다는 소망을 갖게 되었다.

나는 잎싹이 폐계로 여겨져 죽음의 구덩이에 버려지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워졌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나마 철망을 빠져나왔다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어쩌면 잎싹의 소망이 이루어질지도 모른다는....... 어쩌면 난종용 암탉으로 철망 속에 갇혀 지내는 암탉들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주어진 생활에 익숙해져가는 우리들의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고 보면 그런 생활 속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갖고 스스로 이름을 짓고, 소망을 품고 사는 잎싹이 겉으로는 볼품없고 나약해 보여도 용기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철망에서 나온 잎싹은 밖에는 늘 목숨을 위협하는 족제비가 있어 마당 주변을 맴돌아야 했다. 잠자리를 찾는 것도, 먹이를 찾는 것도, 외톨이로 지내야 하는 것도 잎싹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런 잎싹에게 힘이 되어준 것은 청둥오리 ‘나그네’였다. 잎싹과 나그네가 친구로 지내는 모습을 보며 조금 안심이 되었다. 나그네 또한 잎싹처럼 보통의 집오리들과 다른 야생오리로 마음 붙일 곳이 없었기 때문에 서로 곁이 되어줄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씩 야생의 생활에 익숙해진 잎싹은 찔레덤불 속에서 알을 발견하고 어미가 되어 정성으로 알을 품었다. 그리고 얼마 후부터는 나그네가 찾아와 잎싹이 알을 품는 동안 곁을 지켜 주었다. 나중에 알 속에서 나온 새끼가 오리라는 것을 알게 된 잎싹은 그동안 나그네가 했던 모든 행동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 알이 나그네의 알이었다는 것도.......

나는 잎싹이 품었던 알에서 나온 새끼 청둥오리를 보며 가슴이 싸해졌다. 잎싹이 붙여준‘초록머리’라는 이름도 마음에 와 닿았다. 초록머리는 알을 품어 병아리를 태어나게 하고 싶은 잎싹의 소망과 야생오리로 하늘을 날아 무리들과 함께 하고 싶은 나그네의 바람을 갖고 태어난 희망이라고 생각한다. 그 희망이 이루어지기까지 겪어야 할 일들이 걱정되기도 하지만 희망을 갖고 생활한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자신의 바람과는 다르게 행동하는 초록머리를 보며 잎싹은 가슴이 아팠지만 그럴수록 초록머리 곁을 맴돌며 지켜 주었다. 그러면서 잎싹은 그냥 암탉이 아니라 어미로서 자식을 지키기 위해 강해졌다. 마당에 들어갔다가 주인에게 잡혀 발목에 끈이 묶여 있는 초록머리를 구해주기 위해 주인을 공격하기도 하고, 발목에 묶여 있는 끈을 풀어주기 위해 머리가 휑해질때까지 부리고 줄을 쪼기도 하고, 족제비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가르쳐 주기도 하고.......

나는 잎싹이 초록머리의 어미로서 하는 모습을 보며 든든해졌다. 어느새 자란 초록머리가 자신보다 몸집이 커서 마음껏 안을 수는 없지만 잎싹에게 초록머리는 여전히 아기인 것이다. 초록머리가 저수지로 날아온 자신의 무리들 틈에 섞여서 파수꾼으로 자리를 잡는 모습을 보며 뿌듯해 하는 마음. 비록 자기 곁을 떠나 다시는 볼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자신의 자리고 돌아가는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감수하는 사랑, 초록머리가 떠난 후 자신의 소망을 이루었다는 안도감과 나그네의 바람도 이루었다는 흐뭇함으로 족제비의 새끼들을 위해 두려움 없이 족제비의 먹이가 되어주는 희생....... 잎싹의 죽음이 슬프기 보다는 존경스러움이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은 그동안 품어왔던 희망을 현실에서 이루었기 때문이다. 그로고 보면 희망을 품고 생활하는 지금 이 순간, 내가 숨 쉬고 있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행복한지 깨닫게 된다. 마당 밖으로 발걸음을 내딛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