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스누피는 마냥 즐거울까? - 좀 더 괜찮아지고 싶은 나를 위한 심리학
에이브러햄 J. 트워스키.찰스 M. 슐츠 지음, 공보경 옮김 / 더좋은책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즐겨 보던 만화인 피너츠를 통해 그 속의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살펴보면 각자의 독특한 개성이 짐작된다. 이러한 다양한 주인공들의 행동들은 의사의 입장에서 보면 달리 보일 수 있다.
공상가, 위선자, 아첨꾼, 우울자, 지배하기 좋아하는 자 , 자존감이 높은자와 그렇지 않은 자, 늘 패배의식에 사로잡혀 있는자 등등 다양한 성격의 특성을 열거한다. 작가는 이러한 성격은 인격의 핵심이며 그 인격은 삶을 지배하므로 ,나쁜 성격은 어렵더라도 반드시 교정하길 당부하고 있다.
그는 심리치료는 두 가지인데, 안에서 밖으로 혹은 밖에서 안으로의 치료라고 한다. 그가 효율적이라 여기는 치료는 후자인데, 그 이유가 특이하다. 다년간의 경험때문이다.
웃으며 쉽게 보는 만화주인공들의 일상을 통해 우리는 각자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기회를 갖는다. 단순한 만화 주인공이지만 그들을 통해 여러 성격의 단면을 이해하고 동조하며 때론 부정하고 의심한다.
작가는 주인공 찰리와 스누피의 행동에서 심리적인 양상을 발견하고 , 그가 치료한 환자들을 빗대어 이야기함으로 독자 스스로가 자신의 성격과 처지를 뒤돌아봄으로 유사한 환경에 노출된 자신의 문제점을 직시하게 하고 건강한 감정의 소유자가 되게끔 유도하며 도와준다.

스누피는 공상의 세계에 잘 빠지는 강아지인데 때로는 찰리 브라운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기도 한다 . 그 캐릭터 안에서 의사는 인간이 가져야 할 공상의 해로움과 이로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때로는 현실을 부정하고 공상 안에 사로잡혀 현실을 멀리 하고픈 행동을 취하기도 하고 '부정은 사실 인식을 차단하는 형태를 취하기도 하며 현실을 실제와 다른 쪽으로 인식하는 착각을 동반하기도 한다' 고 덧붙이고 있다.
변호사 ,톨스토이 ,전쟁영웅 , 강사 ,돈 후안이 되고 싶은 스누피는 결국 자신이 개일 뿐이라고 단념하면서 개 집 지붕 위에 누워 있다.
체념과 단념 그리고 자아의 상실감은 우울을 부르고 더 큰 인생의 낭비를 부를 수 있다. 이 만화를 통해 가끔 우드스탁이 좌절에 빠진 스누피를 격려하고 스누피는 그런 우드스탁의 공상을 '아니다 '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저자는 깊이 빠진 우울 환자를 치료했던 경험을 통해 주위환경의 중요성도 짚어주는데, 집단심리치료나 현실을 일깨워 줄 누군가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다. 집단심리 치료는 그 중심자가 자신의 영역이 아닌 제 2,3,4자의 성격과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는 공간을 만들어준다는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한다.

찰리의 누나 루시와 여동생 샐리는 각기 다르게 찰리를 이용한다. 루시는 찰리보다 연장자임을 강조하면서 지배하고자 하는데, 그에 반해 샐리는 창찬을 먼저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때론 그 범위를 넓혀 국가와 국가간의 관계에서도 취할 수 있는 태도와 입장에 따라 얻는 이익은 천차만별일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극단적인 겸손함을 가진 찰리는 만화속에서 자아가 낮아 늘 실패하는 아이이다. 그는 가혹한 가정에서 자라지 않았으나 그런 성격으로 자란다. 그런 자존감없는 성격이 루시를 자극해 그를 비하하게 만든다' 이 말은 나의 자존감 없는 좋지 못한 성격은 ,남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패배자의 심리로 똘똘 뭉쳐진 찰리는 어쩌면 그 안에서 더 편안함을 느끼고 세상의 도전과 스트레스에서 자신을 차단하고 보호하고 있는중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다.
베토벤을 사랑하고 늘 피아노연주에 골몰하는 라이너스. 그를 통해 어떤 기대감의 형상화가 자신에게 미치는 긍정적이고 방어적인 영향을 , 더 나아가 자신이 골몰하고 우상시하는 것에 대한 자기만의 행복감을 눈치챈다면,우리들도 인생의 우상을 하나쯤 만들고 그 안에서 행복을 추구해보자.
끝으로, 모래성 쌓기에 골몰하는 라이너스가 그 모래성을 망치는 비가 내리자 하는 혼잣말을 기억하자. 이 고난에서 얻는것은 무엇일까..

🎀Special Clip
누나 루시가 늘 발로차서 무너질 줄 알고 있는데도 모래성을 쌓고 있는 라이너스가 사랑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