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 지구 수비대 4 : 수질 오염 - 국내최초 몸개그 액션 환경학습만화 라바 지구 수비대 4
김정욱 지음, 김정한.장호찬 그림, 이두진 감수 / 다산어린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국내최초 몸개그 액션 환경학습만화


라바 지구 수비대

4 수질 오염


글: 김정욱 / 그림: 김정한, 장호찬 / 감수: 이두진

출판사: 다산어린이


차례

1. 생존의 필수 요소, 물

2. 깨끗한 물 vs 더러운 물

3. 부족한 물

4. 수자원과 에너지

5. 넘쳐 나는 물

6. 촉촉한 지구를 위한 지혜로운 실천



라미의 여행권 당첨 덕분에

바다 한가운데 예쁜 섬으로 휴가를 즐기러 온

라바 지구 수비대.

휴가지의 시원하고 맑은 물에서 신나는 시간을 보내던 그 때

레드와 옐로우는 물고기의 먹이가 될 뻔하자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유리병을 발견하고 그 안으로 들어가

안전한 물놀이를 즐긴다.

하지만 거대하고 무시무시한 상어를 피할 수는 없었으니….



정신을 차린 레드와 옐로우는 그곳이 상어 배 속이라는 사실에 깜짝 놀란다.

그리고 그 곳에서 오랜 시간 살아온 새우 할아버지를 만난다.

새우 할아버지는 갇혀 지내며 책을 통해 박학다식의 경지에 이른 상태다.

상어 몸 밖으로의 탈출은 불가능하다며 포기하고 살기를 권한다.

라바는 탈출에 대한 의지가 불타오르는 것도 잠시

레드는 목이 너무 말라 털썩 쓰러지고 만다.

옐로는 근처에 있던 물을 레드에게 주려고 하는데….



소금기가 많은 바닷물을 해수라고 하는데

이는 바다 생물에게는 상관 없지만 담수 생물에게는 위험을 초래하므로

육지에 사는 생물은 소금기가 없어 짜지 않은 물인 담수를 먹어야 한다는

사실만 알게 된다.

휴가의 시작부터 목숨이 위험한 위기라니!


뿐만 아니라 지오와 라미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라바 지구 수비대에게 된통 당한 다크레인이 복수 하려고

각종 임무를 성공시키는 것으로 자자한 킬러 케이를 고용했기 때문이다.

위험천만한 래프팅, 아슬아슬한 암벽 등반 등 온갖 야비한 작전을 펼친다.


라바 지구 수비대는 모두 위기를 물리칠 수 있을까?



라바 지구 수비대 4 수질 오염

1. 생존의 필수 요소, 물

물이란?

지구 표면의 약 70%를 덮고 있는 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 중 하나다.

우리 몸무게의 약 70%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드시 물을 통해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물의 순환과 생명

물은 각종 생명들의 탄생은 물론

인류의 역사와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물은 사람의 몸속에서 체온을 유지해 주고,

섭취한 영양분을 몸의 필요한 곳에 운반하며,

혈액 순환도 돕는 등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일을 한다.

교과 연계

3학년 1학기 과학 05. 지구의 모습

3학년 2학기 과학 02. 동물의 생활

4학년 1학기 과학 05. 혼합물의 분리

4학년 2학기 과학 02. 물의 상태 변화

4학년 2학기 과학 05. 물의 여행

5학년 1학기 과학 0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우리 딸도 라바의 엄청난 팬이다.

아기 때부터 지금까지 무척이나 좋아한다.

그런 라바가 지구 수비대로 활약하는

환경학습만화 책은 필독 도서가 되어 버린 것은 당연하다.

귀여운 라바 + 알록달록 그림 + 흥미진진한 이야기!


4권 수질 오염 편은 물에 대한 이야기다.

매일 마시고, 씻는 등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며 흔한 물,

이렇게 우리가 마시고 쓸 수 있는 물이

지구에서 고작 3% 뿐이라니 얼마나 놀랐는지.

깨끗하고 맛있는 생수를 쉽게 살 수 있고,

수도만 틀면 펑펑 나오는 물을 아껴야 한다는 생각도 적었다.

먼 나라에서 하루에 물을 한 잔도 마시기 힘든 사람들 얘기도

그저 남일이라고만 치부했다.


깨끗한 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오래오래 누리기 위해서

물을 소중히 아끼고 지키며 보호하는 책임,

꼭 지켜낼 것이다!


귀엽고 재미있는 애벌레 라바야~

중요한 깨달음을 줘서 정말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