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해 개의 별, 단 하나의 나
세스 피시만 지음, 이저벨 그린버그 그림, 최순희 옮김 / 다섯수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일,

10 십,

100 백,

1000 천,

10000 일만,

100000 십만,

1000000 백만,

10000000 천만,

100000000 일억,

1000000000 십억,

10000000000 백억,

100000000000 천억,

1000000000000 일조,

계속 세어 볼까?


천해 개의 별, 단 하나의 나


글쓴이 : 세스 피시만 / 그린이 : 이저벨 그린버그

출판사 : 다섯수레

 

 

태양은 별이다.

그리고 태양 같은 별이 우주에는

천해 개나 있다.

100000000000000000000000개!


 

그 많은 별 가운데 태양 곁을 돌고 있는

초록빛 푸른 행성, 바로 지구다.

우리는 여기에 살고 있다.

지구가 푸른빛인 건 바다를 가득 메운

14해 리터의 물 때문이고,

지구가 초록빛인 건 땅 위를 가득 채운

3조 그루의 나무들 때문이다.


 14해 = 1400000000000000000000

3조 = 3000000000000


태양의 반대편, 햇빛이 비치지 않는 곳의

지구는 별처럼 반짝이는 불빛들로 가득하다.

사람들이 많이 사는 250만 개 도시와 마을을 밝히는 그 불빛 아래

어떤 사람들 중 한 명이 바로 우리이고 나다.

250만 = 2500000​

 


큰 수는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엄청나게 큰 수를 세어보지는 않았다.

이 책에서 참 흥미로웠던 부분이 개미의 수였다.


도시와 마을에 사는 사람의 수는 75억 명,

지구에 사는 개미의 수는 1경 마리,

칠십오억 명 사람의 무게와 일경 마리 개미의 무게가 거의 비슷하단다!

개미가 많은 줄은 알았지만 이 정도였을 줄이야!


75억 = 7500000000

1경 = 10000000000000000


이 흥미로운 책에 나온 숫자들은

과학 기사와 수학과 아주 똑똑한 어림짐작과 천재의 도움으로 알아낸 수들이고,

아마, 거의, 확실히 맞을 거란다.

아무리 큰 수라도 손쉽게 그 크기를 상상하거나

다른 수와 비교할 수 있단다.

개미나 빗방울의 숫자까지 이렇게 세어본다니

무척이나 재미있다.


.

.

.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우리 딸은 현재 120까지는 수월하게 센다.

그 이후부터 999까지는 엄마의 도움을 받아 세고,

1000 이상은 아직 어려워 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는 엄청나고, 사실 엄마인 나도 그 수를 다 헤아리지는 못한다.

그저 외우기만 열중할 뿐.

일, 십, 백,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 조, 경, 해 자!

중요한 것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들과 사람들 가운데

우리 딸은 단 한명 뿐이라는 것!

사랑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