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의 첫 번째 거미 - 2019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선정작 튼튼한 나무 34
양지윤 지음, 조은정 그림 / 씨드북(주)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지금까지와는 좀 다르게 집을 의인화하여 쓰여진 책이예요. 집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예쁜 세밀하게 펜으로 그린 그려진 그림이 참 예쁘게 느껴졌어요.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은 철거되어버린 건물들을 포함한 옛 주요 건물들을 알게 되었는데 애경사는 비교적 최근에 철거된거라 미리 알았더라면 철거되기 전에 한 번 가보았을 것을.. 하는 마음이 들었어요. 이 책에 나오는 주요 건물들로 보아 미선이(집의 이름)는 인천에 있는 주택인듯 해요.

 

집이 주는 의미. 새집과 헌집, 그리고 그 집에 대한 느낌.. 어쩌면 새집의 첫 번째 거미는 현재 인간인 우리가 부동산을 바라보는 관점을 집의 입장에서 쓰여진 책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책의 주인공인 표지에 나온 집, 미선이가 새집에서 헌집이 될 때까지 그 집에 살았던 사람들과 그 집에서 잠시 쉬었던 길고양이들, 그리고 주택에서 자주볼 수 있는 거미까지 포근하게 안아줘요.

집인 미선이가 자신에게 사는 사람들에게 정을 주고, 또 이사로 인해 이별을 하고, 그리고 그 집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생긴일들.. 집인 미선이는 모두 간직하고 있어요. 그리고 자신의 주변에 있던 낡고 오래된 인간에게 쓸모없어진 돈 안되는 건축물들이 철거되는 모습도 바라보며 처음에는 자신도 그렇게 될까봐 두려워했었는데 어느덧 새월이 흐른 낡은 집의 미선이는 더이상 철거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지 않아요. 미선이는 또 빈집으로 남아있었는데 예전에 미선이에게 살았던 미선이가 친구같이 다정하고 따뜻하게 품어주었던 말 더듬이 재로가 이민을 갔다 아이 엄마로 돌아와서 다시 미선이를 찾아와 그 아이와 함께 이 집에서 살게 될 것이라는 암시로 끝이나요. 

집의 가치를 너무 돈이 될 집으로 따지는 것 보다 마음이 편안한 집, 생활할수록 정이 드는 집이 좋은 집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옛 건물들도 다 추억이 있는데 역사적 가치가 있는 건물들은 그 건물들을 철거하기 보다  잘 보전하여 활용하는 것도 좋을 듯 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