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금박 > 소중한 일상을 담다
꿈꾸는 우리 민화 - 민화 보림한국미술관 4
윤열수 지음 / 보림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보림에서 펴낸 한국 미술관 4번째 작품은 민화를 소재로 한 '꿈꾸는 우리 민화'이다.

전작인 <우리땅 진경산수>를 시작으로 <화조화, 꽃과 새, 선비의 마음> < 풍속화, 사계절의 생활풍속>에 이은 민화는 보림의 정신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우리는 역사에서도  政史만을 공부하고, 배우고, 바르다는 인식들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삼국사기가 정사를 다뤘다면, 삼국유사는 일상을 다룬 역사서로 유명하다. 하지만 요즘 학자들을 중심으로 삼국유사에 대해나 재해석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한 것은, 정사로 다룬 역사에 비해 민중들을 중심으로 한 일상적 역사가 가치를 더하기 때문 아닐까?

그런점에서 민화를 미술관 4호로 낸 보림의 역사관 역시, 민초들, 민중들의 풀뿌리 역사를 중히 여기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소중하게 책을 받아 들었다.

우선 처음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전시회에서 멋진 팜플렛을 한 권 받아본 기분이랄까?

책 표지 자체에서부터 전해오는 '귀함'은 책을 읽는 내내, 한자 한자 소중하게 읽어내게 한 동력이 되었다.

가방속에 책을 넣어 다니면서, 일하는 틈틈이 사람을 기다리는 막간을 이요해, 그리고 새벽녁에 혼자 읽어간 <꿈꾸는 우리 민화>는 말 그대로 우리네의 일상적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는 민화의 정신과 가치에 대해 자세히 썰을 풀어내고 있다.

정통회화의 범주를 벗어났다는 이유로 잡화나 속화로 불리며 천시를 받았지만, 민화의 가치는 정통회화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민화는 그 자체로 우리 선조들의 삶이 투영되고, 전이되고 있다. 무병장수와 가족간의 화목을 비는 내용에서부터 다양한 소재와 달몬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화는 소재는 바로 일상이고 생활인 것이다. 까치 호랑이는 새해 첫날 보을 바라며, 나쁜 기운을 막고자 기려 그려진  것이고, 화조화는 꽃과 새가 사랑하는 형상을 표현한다. 음양의 조화를 그림을 통해 나타내고 있는 가 하면, 자손의 번창을 그림을 통해 기원하고 있다. 백접도는 꽃과 나비의 아름다운 자연의 나타내고 있고, <책가도>를 통해서는 늘 책을 옆에 둔 학자들의 소망과 선비의 취향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말 그대로 민화는 우리 선조의 일상적인 내용들, 바램들을 담고 있는 또 다른 역사서가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보면서

과연 귀하지 않는 것이 어떤 것일까?

우리 주변의 작은 미물들,

하나하나 소중함, 귀함들을 담고 있다는 진리 하나를

책을 통해 새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무엇보다 <꿈꾸는 우리 민화>의 윤열수 작가는 민화를 단순하게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소재나 역사에 관해 자세히 세심하게 설명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책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전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오래도록 소중하게 보관하게 될 애장서 한권이 될 것 같다.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