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 초등 고학년 독해력 Level 3 - 수능까지 연결되는 본격 독해 초등 디딤돌 독해력
김세동 외 지음 / 디딤돌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방학을 시작할 때 큰아들과 약속한 건 오전에 마냥 놀며 시간을 보내지말자였는데요...그래서 수학이랑 연산 독해력을 한장씩 하기^^
평소 일주일에 한번 독해력 문제집을 풀었던 아들인데... 코로나사태로 아직 개학을 못하고 있는 상황인지라 독해력 한권을 끝내기도 했네요^^

 

그동안 쭈욱~~~디딤돌 초등독해력과 함께 한^^
 
독해력을 기르려면 무조건 어려운 글을 읽어야 할까요?
자신의 수준을 뛰어넘어 너무 어려운 글을 읽게 되면 글의 내용조차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독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또한 자칫하다 독해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신의 수준에 딱 맞는 글을 계속해서 읽으면 독해력이 향상될까요?
그렇지도 않아요~사고력은 생각의 방향이자 흐름이기 때문에 자신의 수준보다 조금은 수준이 높은 글을 읽어야 사고력도 조금씩 깊어지게 됩니다.

즉 자신의 수준을 고려하여 시작하되, 지문의 수준을 조금씩 높여가며 꾸준히 독해 훈련을 할 때 독해 실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어려운 글을 바로 독해하기는 어려우니 한 단계 한 단계 수준을 끌어올려 읽어가야 해요^^

초등고학년 독해력은 어휘 수준/ 글감 수준/ 글의 길이를 고려하여 4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초등 6학년 큰아들은 고학년 3권으로 독해력을 다시 시작해봅니다.
 

 

초등 6학년 아들은 바로 예비 중등이죠

예비 중등인 초등 고학년 때는 본격적인 독해를 해야 하는 시기

저학년때 사실적 독해 위주로 독해의 기초를 마련했다면, 고학년 때에는 수능에서 평가하는 보다 종합적인 사고 능력인 추론적 독해, 비판적 독해,

창의적 독해까지...이것이 본격 독해!!!

디딤돌 초등 독해력은 수능에 출제되는 여러 영역, 즉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영역을 다양하게 독해할 수 있도록 지문을 구성하였으며, 역사, 철학, 경제, 환경 등 수능에서 특히 자주 등장하는 세부 영역은 별도의 단원으로 세분화하여 폭넓은 영역의 독해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ㅎㅎㅎ고학년 3권의 첫 지문이 큰아들에게 하고픈 말들이네요^^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또래에 비해 결코 책을 적게 읽는 편이 아닌데도 독해 능력이 부족함을 느끼는...
그래서 독해력을 차근차근 꾸준히 시작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독해 능력은 글만 많이 읽는다고 해서 키워지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핵심을 파악해 내는 연습이 꼭 필요한 것!!!

 

 

 

 

문제 풀고 나서 지문 속 필수 어휘 코너는 개인적으로 정말 마음에 들어하는 부분~
독해력의 기본은 어휘!!!
빈칸 채우기, 연결하기 등 쉽고 간단한 어휘문제를 통해 지문 속 어휘와 문제 속 개념어를 다시 짚고 넘어갈 수 있답니다.
실제 수능 문제에서도 어휘 문제가 꼭 출제된다고 하니 수능대비까지 할 수 있는 디딤돌 초등 독해력입니다^^
지문 속 필수 어휘에는 뜻풀이도 되어 있으니 꼭 한번쯤은 읽고 넘어가도록 하고 있어요.

 

 

중간중간 독해력 특강이 5개정도 있는데 정말 독해력문제를 풀때 많은 도움이 되는...

독해력특강 1 - 글의 구조를 알면 독해가 빨라진다!
독해력특강 2 -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내용을 예측하라!
독해력특강 3 - 익숙함을 뒤집으면 새로운 게 보인다!
독해력특강 4 - 중요한 정보와 아닌 정보를 구분하라!
독해력특강 5 - 비판적 독해의 시작은 관점 파악부터!

 

지문을 읽고 6개정도의 문제를 푼...어휘까지 하니 시간이 조금 촉박해보이기도 했지만
그건 어휘를 하나 몰라 앞지문에서 찾는다고 그랬으니 조금만 노력하면 10분안에 충분히 풀 수 있어요.

 

 

 

정답과 해설에는 지문의 핵심 내용과 실전 문제의 해설을 제시하였는데 이 부분을 그냥 넘길 순 없죠~
글의 특징뿐만 아니라 글의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하나하나 찾아서 지문에다  밑줄 쫘~~악 긋게하는 ㅎㅎㅎㅎ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입니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하여 수용하고, 이를 응용하여 또 다른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중요하죠.
그런데 지식과 정보의 형식이 다양해졌다고 해도 여전히 대부분은 '글'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요.
따라서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글'을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힘, 즉 독해능력이 필요합니다.
국어 외의 교과목에서도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찾아 이를 다른 것에 적용하는 독해의 과정을 통해 지식을 키워나갑니다. 따라서 독해 능력을 갖추고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공부의 결과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독해 능력이 필요합니다.
독해 능력을 탄탄하게 갖추는 것은 다양한 정보로 이루어진 여러 교과목을 공부하기 위한 기본입니다."

 

 

 

학교 시험이 있는 중학교 때부터는 학교 내신 위주로 공부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그러니 학교 시험이 없는 초등 고학년 때가 집중해서 독해 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게다가 요즘 집에 있는 시간이 대부분이죠...
디딤돌 초등 독해력과 함께 충분한 연습을 한다면 아이들 독해력 고등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더구나 초등 고학년 때는 학생들의 사고력이 증폭되는 시기라고하니 그 효과는 배가 될 듯 합니다^^

 

 

디딤돌초등독해력,독해력문제집,독해력추천,수능독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