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밀한 타인들 - 소중한 사람과 더 가까워지는 관계심리학
조반니 프라체토 지음, 이수경 옮김 / 프런티어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외로움은 우리를 죽이지만 친밀함은 우리를 소생시킨다"
삶을 살아가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의 대부분이 외로움이 아닐까 싶다.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어색한 관계가 친밀함을 느끼는 관계가 되기도 하고 친밀했던 관계가 서먹해지기도 하는 친밀해지기를 원하다가도 막상 가까워지면 상처를 받고 멀어지는 경험을 하면서살아간다.
어떻게 하면 상처받지 않고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 수 있을까?

친밀한 타인들
원하는 관계를 얻기위해 꼭 알아야 할 8가지 심리법칙
관계의 선택- 관계 과부하에 걸려 아무도 선택하지 못하는 사람들
외로움은 마음을 어둡게 하고 판단력을 흐린다.
과도한 고립감은 감정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방해한다.
외로운 심리 상태에서는 더 쉽게 스트레스를 느끼고 낙관적 시각을 갖기 힘들다.

관계의 유지 - 점차 성숙하고 오래된 관계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
친밀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은 누군가와 친밀해지려면 관계를 맺고 그 과정을 연습하고 빛이 나도록 잘 다듬어야 한다.
관계의 균열-안정적 관계를 흔드는 충동과 우유부단함
인간이 보이는 복잡한 특성 및 행동의 대다수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잡하게얽힌 결과다.
외도라는 행동 역시 타고난 기질에 환경의 영향이 더해진다.

관계의 방향-주기만 하는 사람과 받기만 하는 사람
나와 타인 사이의 거리는 끊임없이 재설정된다.
관계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노력이 필요한 부분은 나의 돌립성과 함께 하는 것 사이에서 미묘한 균형을 유지하는 일이다.
어린 시절 경험한 양육자와의 관계는 나중에 성인되어 타인과 정서적 유대관계를 맺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안정애착,불안정애착,회피애착등에 따라 타인을 대하게 된다.
하지만 애착유형은 절대불변의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달라진수 있다.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좋은 출발점이 된다.

관계의 깊이 - 진짜 원하는 사이를 만들기 위해 감수해야 할 것들
우리는 가질 수 있는 만큼보다 실제로 감당할 수 있는 만큼 보다 더 많은 것을 갈망한다,
그리고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을 얻지 못하면 실망한다.
친밀한 관계에서 가장 큰 고통의 과정이 동반되지만 어쩌면 가장 큰 행복을 줄 수 있는 것은 서로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일이다.

관계의 재발견-죽음 앞에서 재설정되는 우리 사이의 거리
죽음에 임박한 사람은 주변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고 싶다는 욕구,무조건적인 사랑을 원한다.
죽음이 가까운 사람은 가장 순수한 상태로 돌아간다.
가장 가까운 이들,죽음의 순간이 올때까지 곁에 있어 줄 이들은 훨씬 더 가까워진다.
관계의 보상-상대라 아니라 진정한 나를 마주할 기회
자신이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것, 그리고 그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어야만 자신에게든 상대방에게든 넉넉하고 너그러운 사람이 될 수 있고 거절당한다고 하더라도 상처받지 않을 수 있다.
사랑은 자기 자신을 방어하려는 태도에서는 자라날 수 없다.
관계의 의미-친밀한 타인들이 내 삶에 주는 선물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 의미 있는 도움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뜻한 애정과 위로 그리고 사회,정서적 지원이 맞드시 필요하며 특히 가까이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그런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친밀한 타인들에서는 8가지 이야기를 통해 타인과 어떻게 친밀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고 잃어버리고 되찾는가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나의 정서와는 조금 다른 면은 있었지만 그 이야기안에서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타인과의 관계를 맺으며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좀더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이가 될 수 있도록 용기를 내어 나와 맞는 사람들과의 가까워질 수 있는 용기도 생긴 것 같다.
타인과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