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별들에서 보는 것 -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떠나는 밤하늘 여행
켈시 오세이드 지음, 이충호 옮김 / 봄나무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어릴 적 까만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들을 보며 저 별은 어떤 별일까 궁금해 하던때가 있었지요.
우주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면서 미지의 별에 대한 환상은 사라졌지만 우주가 주는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은 계속 되는 것 같아요.
지난 여름 아이와 함께 천문대를 찾아 망원경으로 여름별자리를 찾아보며 잊지못할 추억을 쌓았던 기억이 새록새록 하네요~
[봄나무] 우리가 별들에서 보는 것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떠나는 밤하늘 여행이란 부제가 호기심을 자극 하네요.
우주에서 우리가 있는 곳을 먼저 알아보는 게 좋대요.
우리가 사는 행성- 지구
지구가 궤도를 도는 별 - 태양
태양이 중심인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가 있는 은하 - 은하계
우리 은하가 속한 은하집단 - 국부 은하군
국부 은하군이 속한 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초은하단이 우주에서 수백만개의 초은하단과 함께 있는 곳 - 관측 가능한 우주

별자리는 실제로 우리 눈에 보이는 밝은 별들의 집단이 아니라 특정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말해요. 별자리는 만들어진 지 아주 오래된 것도 있고 얼마 되지 않은 것도 있어요.
우리가 지구에서 보는 별의 상대적 밝기는 여러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대요.
겉보기 등급 -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별의 밝기
실시등급- 지구에서 맨눈으로 보는 별의 밝기
절대등급-별을 동일한 위치에 두었을때 별의 실제 밝기를 나타낸대요.
별자리의 이름은 어떻게 유래가 되었을까요?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많은 별자리에 이름을 붙인 고대 천문학자예요.
프톨레마이오스는 천문학과 수학,지리학 심지어 점성술까지 많은 분야를 연구했어요.
하늘을 관측한 결과를 광범위하게 다룬 [알마게스트]에 별들의 목로과 별자리들이 실려 있어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특정방식으로 묘사돼온 별자리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이 붙게 되었고 그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별자리의 전설로 전해지게 되었어요.
은하수
우린 은하에 있는 별의 수는 1000억개가 넘어요.
희미한 빛의 구름이 하늘을 가로지르며 띠모양으로 길게 뻗어 있는 은하수는
우리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이예요.

달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자연위성이며 지구와 가장 가가운 천체예요.
달이 지구 주위를 한달마다 한번씩 도는 동안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나는 부분의 모양이 매일 변하는데 이것을 달의 위상변화라고 해요.

태양
태양이 내는 빛으로 지구를 따뜻하게 만들어 지구의 모든 생명이 살 수 있도록 만들어요.
월식-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들어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덮을때 일어나요.
일식-달이 태양을 가리는 것을 말하는데 일식을 관측하려면 눈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장비를 사용해야 해요.


그밖에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까지 각각의 행성이 갖는 특징과 그림은 과학적 지식과 함께 아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것 같아요.
혜성 -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도는 암석과 얼음 덩어리 천체예요.
유성 -우주공간에서 지구를 향해 날아오는 작은 암석질 물체를 유성체라고 해요.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면 불타면서 밤하늘에 섬광을 일으키거나 밝은 빛의 선이 되어 휙 지나가는데 이것을 유성이라고 해요. 대기권을 지나는 동안 완전히 타 없어지지 않고 남은 물체가 지표면에 떨어진것을 운석이고 해요.
[봄나무]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떠나는 밤하늘 여행 우리가 별들에서 보는것은
우리가 별들에서 보는(그리고 보지않는)현상 뒤에 숨어있는 기초과학과 밤하늘에 얽힌 고대신화까지 알수 있어요.별자리에 대한 신비한 그림과 설명으로 아이들에게 과학적인 지식과 함께 재미도 같이 느끼며 신비한 우주여행을 하는 기분도 느끼게 해주는 좋은 책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