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민이 고민입니다 - 일상의 고민을 절반으로 줄이는 뇌과학과 심리학의 힘
하지현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 하루도 많은 고민들을 하며 보낸것 같다.
배고픔을 느낄때 무엇을 먹을것인지의 작은 고민에서부터 아이교육, 이사,건강,직장등 큰 고민까지 셀 수 없는 많은 고민과 생각들을 하며 삶을 살아가고 있다.
중요한 고민일수록 고민에 시간을 많이 들여야 더 좋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착각이다. 실제로 내가 갖고 있는 에너지를 고민에 다 써버려서 다음 과정에 돌입하려고 할때 이미 지쳐 있거나 시간에 쫓기게 된다는 작가의 말에 깊은 공감을 느꼈다.
나또한 한가지 이상의 고민이 생기면 머리속이 복잡해지면서 신경이 날카로워진다. 고민을 잘하는법을 찾아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고민을 방해하는 감정들로는
자기확신의 결여(자기 결정을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
불안(고민은 걱정이 되고 걱정은 불안을 낳는다)
낮은 자존감(남의 눈치만 보고있지 않은가)
우울(마음의 에너지가 바닥난 사람들)
심리화(모든 문제의 원인을 심리학에서 찾고 있는가)
현상유지와 회피(변화가 두려워 결정을 미루는 사람들)
감정적 기억(나쁜 기억이 공든 고민을 무너뜨린다)
반추(부정적 감정은 되새긴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방관과 부정(집단안에서 방관을 선택한 사람들)등 이 있다.

고민을 잘 풀기 위한 공식
고민의 위치를 파악하라
- 고민하는 사안이 감정적영역이 주도하는지 인지적 영역이 주도하는지 구별한다.
-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도 될 일을 구별한다.
- 지금 내가 가지고 잇는 마음의 자산을 점검한다.
뇌용량을 확보하라
- 의식적으로 느슨하고 여유있는 마음속 공간을 촥보하자.
루틴을 만들어라
- 일상에서 매일 반복하는 일과 공적인 일이나 사회적인 관계에서 책임을 지고
결정해야 하는 일을 구별해야 한다.
작업기억을 활용하라
- 재빨리 기억을 꺼내 쓸수 있도록 분류를 잘하는 것
큰 고민거리를 잘게 쪼개라
-내가 할수 있는 만큼 잘라서 조금씩 해결해보자
고통과 불편을 구분하라
- 고통의 영역에 있던 것들을 불편함으로 재분류하면 고통의 전제영역이 줄어든 만큼 안정감이 증가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고민의 우선순위를 정하라
-어려운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별하라
한번씩 큰 그림을 보라
-중요한 일일수록 지금 어디까지 진행했고 큰 흐름에서 어디에 있으며 전체적인 윤곽이 무엇인지 한번씩 점검하는것이 디테일에 빠져 허우적거리지 않는 방법이다.

그냥 지켜보기만 해라
-고민을 어떻게든 객관화하고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당장 해결하지 않아도 좋다
-기다리는 시간은 낭비가 아니라 생각을 통합하는 과정이다.
뇌를 행동모드로 맞춰라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 아닌 단순하고 쉬운 행동을 시작하자.
최선을 찾기보다 최악을 피하라
-더 만족하려고 노력하고 덜 완벽한 선택을 하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너무 먼 미래는 생각하지 말자
-오늘 하루를 잘해내자는 마음들이 모여서 자존감을 만들고 그 자존감의조각들이 쌓여서 실제로 내일 닥칠지도 모르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사건들로부터 나를 막아줄 방어벽이 된다.
일단 결정하면 뒤돌아보지 말라
-한번 선택하고 나면 최종결정이라고 믿고 결정에 대한 애착을 증가시키며 장점을 더보려고 하고 최종적으로 그 결정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간다.
감정을 막는 방파제를 세워라
-내 핻동을 통제하고 감정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 패턴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관계를 유지하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쓰지말라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고민의 가짓수를 줄이고 관계로 인해 마음이 번잡해질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나를 중심으로 관계를 이끄는 것이 더 행복한 일상을 만들수 있다.
타협할 수 없는 최소한의 원칙을 만들어라
-일반적인 원칙을 알고 순서를 정하면 고민의 필요성이 줄어든다.

결정과 책임은 오로지 나의 일로 여겨라
-큰 결정을 해야 할수록 많은 사람의 의견을 최대산 듣고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결정의 마지막 순서는 내가 되어야하고 그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
가치와 의미를 생각하라
-나를 중심으로 감정에 충실하게 선택의 기준을 잡아보며 그것이 미래를 위한 기반이 된다. 그리고 그것이 삶의 동기가 된다.
욕망의 한계선을 그어라
-내 기본적 욕구는 충족되고 있는지 먼저 점검해보자
욕망과 욕구를 구별해서 단계별로 풀면 불안은 줄어들고 한결 쉽고 간결하게 문제를 정리할 수 있다
의지가 약하다는 말을 흘러들어라
-그 순간의 결정을 믿어주자
자아의 고갈을 막아라
-에너지의 결핍은 자아의 고갈을 가져오고 감정조절과 충동억제,결정과 선택능력의 마비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풀루엔셜] 고민이 고민입니다를 읽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나를 잃지 않는법, 힘들때 조금 떨어져 그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갖기, 작은것부터 결정하고 조금씩 큰일을 결정하기, 작은 고민을 큰 문제로 만들지 않기, 나자신을 사랑하기를 통해 하루에도 많은 고민과 결정들 속에서 살아가는 삶에서 좀더 내 중심으로 나답게 생각하고 나를 믿으며 나를 성숙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