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 - 최성애.조벽 교수가 전하는 애착 심리학
최성애.조벽 지음 / 해냄 / 2018년 1월
평점 :

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
해냄 출판사/ 최성애. 조벽 지음
삶이 풍요로워 질수록 비교와 경쟁이라는 이름아래 현대인들의 마음은 점점 피폐해지고
삶의 의미를 잃고 살아가는 지금 이시대에서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하는것은 무엇인가?
'청소년 감정코칭'이란 책으로 만나본 최성애,조벽 교수님이 쓰신 책이라 더욱 관심이 갔던
[해냄출판사]의 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

정서적 흙수저 와 정서적 금수저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금수저로 태어났지만 부모의 소유물처럼 살아왔거나 무엇인가잘해야만
인정을 받는 조건부 사랑을 받았거나 돈으로 외부인의 손에서 맡겨져 자란 사람들은 부모와의 유대적 결핍으로 인해 원초적 불안감과 불신감때문에 성숙한 자아정체성이 형성되지 못했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사람들을 '정서적 흙수저'라고 한다.
반대로 경제적으로 흙수저로 태어났지만 화목한 가정에서 부모아의 안정된 애착연결속에서 정서적 양육을 풍요롭게 받아 외적 자극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과 자존감이 높아 다양한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현재 사정이 어렵더라도 희망찬 금빛비전을 선택할 줄 아는 사람들을 '정서적 금수저'라고 한다.
위기상황에 처했을때나 중요한 욕구가 있을때 돌봄을 기대한 대상(부모 등 양육적) 으로부터 외면당하거나 거부당하거나 버림받은 상처를 애착손상이라 한다
본인의 미래에 대해 절망적으로 생각하고 부정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미리 판단하고 주저앉는 사람이 정서적 흙수저가 된 확률을 높아진다. 아이들이 정서적 금수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양육자와 아이의 애착유형>>
신뢰가 탄탄한 아이들 : 안정적 애착
아이와 양육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 신체적, 정서적,물리적 도움이 필요할때 양육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받아들여 지리라는 믿음이 있는 관계이다.
몹시 불안해 하는 아이들: 블안-양가감정의 애착
안정적 애착이 형성되지 않고 수시로 양육자가 바뀌었거나 관계가 갑자기 단절된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아이라면 아이는 부모에 대해 신뢰와 불신의 양가감정을 가질 수 있고 양육자를 안전한 피신처와 안전지대로 삼지 못하는 관계이다,
무관심한듯 행동하는 아이들:불안-회피형 애착
부모로 부터 지속적이고 일상적인 방치로 인하여 많은 거절과 실망을 경험한 아이는 불안-회피형이 될수 있다.놀때 다정함을 보이지 않고 같이 웃거나 표정이 없다든지 무관심한듯 행동한다.
어찌할바를 모르는 아이들: 혼란형 애착
양육자에게 뒷걸음으로 다가가는것 같은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양육자에게 강하게 다가가다가 강하게 도망가거나 멍하거나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것 같이 혼란스러워 한다.대개 학대와 방치가 번갈아 있었던 경험 속에 자란 아이들이 이 유형에 속한다.

어떻게 정서적 금수저로 키울것인가?
부모가 화목하고 다정한 정서적 환경은 아이가 부모 양쪽과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본토대이다.
부부사이가 좋아야 그밑에서 자라는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서 뇌가 건강하게 발달하고, 공부도 잘하고 또래관계도 원만해서 공부도 잘한다.결국 화목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가 금수저이다.
억압하지 말고 엄하게 키우자.
엄한것은 아이나 어른이나 모두 지켜야하는 규칙이나 행동규범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규칙과 규범을 따르게
하는것으로 아이가 허락된 테두리를 벗어나면 지적하고 책임을 추궁하지만 테두리 내에서는
상당한 자율권을 보장하는 것이다.
아이를 부모의 따뜻한 시선 안에 두자.
부모의 시선안에서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자란 아이들은 생명력과 자신감으로 충만하다.역경을 만나더라도 다시 튀어올라올 수 있는 상처 회복 능력이 있다. 자상함과 엄격함의 균형 속에서 배려와 존중을 느끼며 자라는 것이다.
놀이터에 보내지 말고 놀이터가 되자.
아이들은 부모가 안아준것, 먹여준것 씻겨준 것, 노래불러준것,등 정서적으로 느낌과 감정으로 부모가 직접 해준것들을 기억한다.
아이와 함께 산책하고 자전거를 타고 모래장난을 하고 술래잡기를 하고 소꿉장난을 해보면 부모도 다시 아이가 되어 행복감을 맛볼 수 있다. 아이와 여행도 하고 나들이도 해보자.아이를 키우는 즐거움과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아이는 부모와 함께 놀면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전략,협동심,조육,공평함,자신감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다.
아이의 금맥을 발견하라.
아이가 스스로에 대해 갖는 이미지는 아이에 대한 부모의 생각과 부모가 아이를 사랑해준 기억을 포함하여 스스로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통합된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어떻게 대하고, 느끼고, 생각하는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자아상을 구축한다,
부모에 대한 기억은 아이의 자아상 뿐만 아니라 세계관이 되기도 한다.
아이의 회복탄력성과 미래는 아이의 장점에서 비롯된다.
아이의 장점을 많이 찾아주라.
외상성 사건을 겪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키워주는 것이다.
아부지가 아니라 아버지가 되자
아빠가 양육에 긍정적으로 참여하여 아이를 격려해주고 지지해주고 보호해주고 함께 도전하면
문제해결능력이 발달하고 독립심도 커지고 공감능력이 높은 성인으로 성장한다.
조건 없는 사랑을 주는 단 한 사람이 필요하다
부재하는 배우자에 대해 존중하며 장점과 고마움을 긍정적으로 이야기해주며 아이는 건강하고
성실하게 자란다.
부모가 없더라도 부모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존재, 누군가 한명의 어른이 조건 없는 사랑을 줄때
아이는 상처를 극복하고 잘 자란다.
행동코칭이 아니라 감정코칭을 하라
아이는 아직 미성숙하므로 성숙한 행동을 잘 모르고 서툴게 마련이다.
감정코칭은 감정은 수용하되 행동은 수정한다.
1단계 : 아이의 감정을 포착한다.
2단계 : 감정코칭을 할 좋은 기회로 여긴다.
3단계 : 아이의 감정을 들어주고 공감한다.
4단계 : 감정에 이름을 붙여서 명료화한다.
5단계 : 바람직한 행동으로 이끌어준다.
부부가 일과 가정을 함께 세우는 큰 그림을 그려라
아이를 낳고 키우는것은 여성 혼자가 아니라 부부가 함께 노력해야 할 일이고 기업과 국가가 정책적으로
제도적으로 지원해야할 문제다. 애착의 중요성을 알고 정서적 금수저사회를 건설하는데 힘을 모아야한다.

[해냄 출판사]의 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를 읽고
어떻게 하면 행복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 아이가 인생을 살아가며 겪을 수 있는 크고 작은 역경을 이겨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부모로서 해주어야 할 의무이자 책임인 애착형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