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늘보라도 괜찮아
이케다 기요히코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홍익출판사] 나무늘보라 괜찮아

이케다 기요히코 지음 /  이지은옮김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지쳐 '이렇게 사는게 행복한가'라는 생각이 자주 드는 요즘

홍익출판산의 "나무늘보라도 괜찮아"제목부터 여유가 느껴지는 책을 만나게 되었다.

게으름이 아닌 안락함을 생각할 수 있을것 같았다. 

어쩌면 쉬고싶다는 내마음을 말하고 있는것 같았다.


태만이란 말은 해야할 일을 열심히 하지않고 게으름을 피운다는 뜻이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대부준 나무늘보처럼 유유자적 천하태평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동경과 질투,그리고 다소 경멸 섞인 복잡한 마음을 안고 있다는 점이다.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해서 행복을 느기는 사람은 그것대로 괜찮다 하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그렇게 

되기가 어려워서 또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부담감에 가위 눌리고 있는것과 다름없다.


미래의 목표나 목적에 얽매인다는것은 오늘이 아니라 내일을 위해 살아가는 것이다.

물론 오늘보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금의 시간을 보다 충실히 보내는 태도를 비난할 수는없지만 

오로지 미래만을 위해 오늘을 살아간다는 것은 현재라는 시간의 희생을 강요받는다는 뜻이다.


사람은 테어나고,성장하고,아이를 낳고, 그리고 늙어 죽는다.

생물이란 모두 그런 존재에 지나지 않는데 우리는 어떻게든 삶에서 의미를 찾아내고 싶어 한다.

나는 인생에서 지나치게 의미를 찾으려는 사람은 어쩌면 그리 행복한 삶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큰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 하나하나의 의미를 따지는 사람보다 분명 마음이 편할거라는 얘기다.


진정한 자기다움은 보통이상의 노력으로 하나의 탑을 쌓기 시작한 다음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 아무런 노력도 하지않고 자신찾기만을 반복하는 것은 인생의 낭비이다.


어떤 분야에 타고난 센스가 있는 아이는 그런 일을 만나면 조금 다른 행동을 보인다.

이때 부모가 그 재능을 발휘할 환경을 만들어주는게 중요하다.

어떤 재능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 최대한 어려서부터 그것을 부활시킬 조건과 환경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주는게 중요하다.


좀처럼 본심을 말하지 않는 사람들은 크게 두가지 패턴으로 나뉜다.

타인에 대한 경꼐심이 강해서 좀처럼 속내를 터놓지 않는 사람, 그리고 속내를 드러내는 척하면서

거짓말을 늘어놓는 사람이다.

자신이 마음을 정확히 파악해서 모든 상황에 제때에 대처할 수 있다면 고민이나 방황은 아예 없을것이다.


 


현대인들이 느끼는 거의 모든 불행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열등감을 깨닫고 그것을 

매일같이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스스로를 못난이라고 질책하는데서 시작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만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삶에 대한 행복도가 높다.


홍익출판사의 나무늘보라도 괜찮아를 읽으며  

내가 생각했던것 보다 단숨에 읽히는 내용은 아니었다.

삶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삶을 어떻게 보낼것인가? 삶을 어떻게 바라볼것인가?의 질문을 나에게

남겨준 책~ 

살면서 나를 억압하는 것들과 타인의 시선에 좀더 자유로워지기를 나의 자유를 위해서 타인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된다는 것도 그 상황을 즐기며 삶을 바라보는 여유로움을 느낄수 있도록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을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