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열하일기
표시정 지음, 구연산 그림 / 미래주니어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만나는 열하일기


[열하일기]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 황제인 건륭제의 생일축하사절단을 따라 청나라를 여행하고 돌아와서 쓴 책이다.라는 설명으로 시작되는 머리말을 읽으며 그 당시 조선의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있으며 박지원의 책은 다른이들의 책과 다른 점을 알게 되었다.




열하(중국강이 이름)일기를 쓴 박지원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다시한번 박지원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와 사대관계를 맺고 해마다 청나라에 사신과 예물을 보냈는데 이때 보내는 시신단을 '연행사'라고 한다.


 


한양을 떠나 여행을 가면서 날씨와 주변상황이나 사건등 자신이 느낀점을 자연스럽게 써나간것이 인상적이였다. 

책을 읽으며 그 상황에 맞는 그림을 보는 것도 흥미를 더해주는 요인이 되는듯 하다.




도강록- 압록강을 건너 청나라로 들어가기까지의 기록

그때의 기후상황이나 일어난 사건, 주변인물을 묘사하는 것이 자세하다.

청나라에서 집을 지으려면 벽돌을 사용하는 데 그 벽돌 사이로 석회를 펴서 바르면 벽이 되는 것과 지붕에 기와를 얹는 방법도 관심있게 지켜보며 다른 나라의 문물을 우리나라의 것과 비교하며 더욱 발전시키려 하였다.



성경잡지- 청나라의 첫번째 수도였던 성경에 관한 여러가지 기록

행궁을 구경하며 죄인을 다스리는 형부도 구경하고 주변상점도 둘러보았고 어느 한노인이 조선사람들이 자기참외를 하나씩 먹고 갔다며 참외값을 달라는 수작을 부린것을 나중에 알고 분해하기도 하였다.




일신수필-말을 타고 빠르게 지나가면서 쓰는 수필

청나라사람들이 똥을 귀하게 여긴것과 태평거라는 수레의바퀴의 독특함을 알고 우리나라에서 수레를 끌지 않는 이유를 깨닫고 수레를 만드는 기술이나 방법에 관심을 없는 것음을 안타까워하였다.




관내정사-산해관 안쪽을  여행하면서 쓴 기록을 

병자호란때 잡혀온 우리나라사람들이 벼농사를 지으며 우리풍속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사신을 따라온 하인들이 그런마을믕 이용해 음식과 옷을 거져 요구하고 도둑질까지 했던 적이 있어 서로가 원수대하듯 한다고 하여 호질(호랑이의 꾸중)이라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막북행정론-막북지역을 여행하며 쓴 기록

우리나라 사신들이 만수절안에 열하에 도착하지 않으면 청나라통역관들이 힘들어진다고 애원하자 인원을 줄여 떠나는데 날씨가 좋지않아 고생이 많았다.



태학유관록-태학에 머무르면서 쓴 기록

태학에 머물며 학자들과 조선의  아름다운 풍속을 알려주고 청나라에 대해 궁금한것도 물으며

마침내 활제의 생일축하행사에 참석하고 기풍액과 달을 보며 서양사람들이 지구가 둥글다는 이야기등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환영도중록-연경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황제로 부터 연경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이 떨어져 서둘러 오면서 절에서 말리던 오미자 한두알을 입에 넣고 시비를 거는 중에게 청심환을 주며 "만약 옳은 일이 아니라면 한낱 지푸라기라도 함부로 남에게 주지 말고 받지도 마라"며 아무리 보잘것 없는 물건이라도 함부로 해서는 안되겠다는 교훈을 얻기도 했다.

태학관에 묵었는데 사람들이 가실때는 빈손인데 오실때는 봇짐이 불룩하다고 하자 봇짐을 풀어 그안에 붓과 벼루 필담 글로써서 묻고 답함을 나누었던 종이뭉치와 일기가 나오자 몹시 실망하였다.





부록으로 꾸며진 옥갑야화 중 허생전까지 아주 재밌게 읽었고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더불어 가슴속 깊이 남는 여운을 남겨주었다.


처음 만나는 열하일기-  초등학생들에게 읽기엔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을 그림을 보여주든 자세한 설명과 그림으로 쉽게 이해되도록 써져 있어  요즘 일기, 독서록등 글을 쓰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에게 좋은 경험이 될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