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 - 수십억 유산보다 더 가치 있는 엄마표 금융 교육을 시작하라!
박정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사고싶은것이 있다고 올해부터는 용돈을 받고 스스로 관리를 하겠노라고 한 아이,여지껏 물건값을 지불하며 사본적이 손에 꼽을 정도라 내심 걱정이 되었던 터라 좋은기회가 될 것 같았다.
단순히 거스름돈만 주고 받는 것이 아닌 돈의 흐름을 알게 하기 위한 돈공부를 할때가 된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우리아이 행복한 부자로 키우는 제대로 된 홈스쿨 경제교육법
[한스미디어]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

어렸을때는 작은 단위의 돈을 통해 세상을 배운다. 사지 않아도 될 물건을 사서 후회한다거나 친구에게 용돈을 빌려주고 돌려받지 못해 가슴앓이를 하는 경험에는 큰돈이 필요하지 않다.
어른이 되어 저지른 실수는 치명상을 입는다. 작은 문제부터 끊임없이 부딪혀보게 하여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켜봐야한다.

엄마는 돈이야기가 부담스럽지만 아이는 즐겁다
돈이야기가 즐거운 까닭은 내적동기가 확실하게 끓어오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돈을 배우면 자기 미래에 도움이 되리란 사실을 누군가 억지로 일깨워주지 않아도 스스로 느낀다.
금융DNA를 깨우는 실전대화
필요와 욕구를 구별하도록 가르치세요.
돈을 빌려주면 친구도 잃고 돈도 잃는다.
경제상황을 바라볼때 소비자와 생산자 양쪽의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자기 시간의 주인이야말로 진정한 부자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놓인 과제는 무언가 잘하는 것이다.
더 중요한 과제는 그 무엇인가를 만드는 것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쉽지 않다.
4차산업혁명에서 기계와롯봇이 대체할 수 없는 사람이 되는 현실적인 방법~
남들보다 조금 뛰어난 두 가지 재능을 독창적으로 조합하고 본인의 개성 몇방울을 떨어뜨리는 것 바로 자신만의 하이브리드 무기를 만드는 것이다.

[한스미디어]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를 읽으며
공부만 잘해서 성공하는 시대는 지났고 자신만의 개성과 함께 잘하는것 하나를 남들과 다르게 성장시킨다면 그것이 인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마중물이 될 수 있다.
경재,금융교육도 함께하며 어렸을적 부터 나의 인생을 설계하고 투자하며 자신의 꿈과 함께 키워간다면 인생을 살아가는데 현명함과 더불어 여유로움까지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줄것이다.
엄마인 나도 지금부터라도 똑똑한 돈공부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