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쓸모 - 불확실한 미래에서 보통 사람들도 답을 얻는 방법 쓸모 시리즈 1
닉 폴슨.제임스 스콧 지음, 노태복 옮김 / 더퀘스트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입학전부터 배우게 되는 숫자공부 부터해서 수학이라는 학문의 영역은 깊고도 넓다.

우리의 생활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문이 수학이 아닐까 싶다.

아침에 눈을 떴을때 오늘 날씨가 어떤가 비올 확률은? 바람불 확률은? 확률과 통계를 자연스레 생각하게 된다.


누구에게나 쓸모 있는 수학이야기

수학의 쓸모


점점 복잡해지는 생활속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와 판단을 필요로 하고 세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더욱 수학과 친해짐으로서 얻는 것이 많다






에이브러햄 왈드는 2차 세계대전 폭격을 마치고 돌아온 비행기에서 손상패턴을 

발견하고 엔진에 장갑을 덧대자고 하는 조건부 확률(어떤 사건이 이미 일어났을때 다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이용해서 항공기 기종별로 생존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을 

만들어서 세상를 구했다.





프로그래밍언어란 인간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으로 사람과 컴퓨터가 제대로 대화를

나누게 해주는 유일한 수단이였다.

호퍼는 역사상 처음 영어로 컴퓨터에 말을 걸었고 선구적인 연구를 이끌었다.


 

데이터 과학분야에서 행해지는 계산 대다수에는 한두종류의 가정이 필요하다. 데이터 과학자들은 모형을 이용해 데이터로부터 통찰을 얻어내고 성공적인 AI시스템을 제작한다. 모형제작은 오직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더퀘스트]의 수학의 쓸모는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수학을 쉽게 바라보고 다가갈 수 있도록 쓰여져 있다.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고민과 문제를 해결할 사고력과 논리력을 키워주는 내용들과 불확실한 미래에서 보통 사람들도 답을 얻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고 있어 수학에 자신감을 가지고 수학을 이용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지성과 기술이 결합하면 AI보다 훨씬 뛰어난 인간의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