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으로 만든 괴물 - 메리 셸리는 어떻게 프랑켄슈타인을 만들었을까요? 바위를 뚫는 물방울 10
린 풀턴 지음, 펠리시타 살라 그림, 권지현 옮김 / 씨드북(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켄슈타인  출간 200주년 기념 그림책

2018년 뉴욕타임스 선정 베스트 일러스트레이션상 수상 이라는

것을 보고 어떤 책일까 궁금했어요.


지금으로부터 200년전 메리는 친구들과 호수 근처 저택에 친구들과 

머물게 되었지요. 

폭풍우가 몰아치던 어느 날 밤 메리는 유령에 대한 이야기를 쓰게 되지요.

어릴 적 들었던 무시무시한 이야기가 떠올랐기 때문이지요. 

죽은 시체를 전기로 움직이는 실험에 관한 이야기를 그리고 여자의 글도 남자의 글만큼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밤새도록 폭풍우와 번개가 몰아쳤지요.

번개가 치면서 메리는 거울에 비친 자기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 무언가를 써내려 가기 시작했지요. 바로 '프랑켄슈타인'이예요.

1818년에 처음 나오게 된 책 -  공포소설과 과학소설을 대표하는 고전이지요.



메리가 만든 프랑켄슈타인은 말도 할줄 알고 글도 읽을줄 알지요. 

외로움을 느낀 나머지 가족을 갖고 싶어하지요.

하지만 무서운 외모때문에 사람들에게 미움과 버림을 받지요.


시체로 괴물을 만들어 낸 남자의  끔찍한 이야기에 사람들은

 놀라워하고 충격도 받았지요. 

그후로 이 소설은 연극,영화,라디오와 텔레비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어요.  

그런데 프랑켄슈타인의 작가가 '메리 셸리'라는 

여성인것을 알고 무척 놀라웠어요. 

그 시대에는 남자들이 여자들이 글을 쓰는 것도 못마땅해하고 

책을 출간하는 것도 남자가 할일이라고 생각했었거든요.

하지만 메리는 남자도 하기 힘든 일을 해냈지요. 

과학적 실험을 바탕으로한 상상력이 가득한 괴물 이야기를 완성했으니까요...


[씨드북] 펜으로 만든 괴물 - 메리 셸리는 어떻게 프랑켄슈타인을 만들었을까요?를 읽으며 일러스트 하나하나에 모든 이야기가 나타나 있고 

또한 그날에 메리가 느꼈을 감정 또한 잘 나타나 있어요.

어릴 적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상상력이 더해져 이렇듯 훌륭한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을 아이와 함께 읽으며 아이에게도 느끼게 해준 소중한 시간이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