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 - 사춘기 아들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부모의 심리학 ㅣ 행복한 성장 3
애덤 프라이스 지음, 김소정 옮김 / 갈매나무 / 2019년 2월
평점 :
주변에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들과 부모들의 갈등이 생각보다 심각해지는 경우를 많이 봐와서인지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기전 나와 아이와의 관계,
아이를 이해하는 법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게 된다,
이미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에게 어떻게 부모의 사랑을 느끼게 해줄것인지
자신의 삶을 대하는 조언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아이를 믿고 지지해줘야하는지...궁금증에 대한 답을 해줄 것 같은 책
[갈매나무]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를 만나보았다.
나또한 아직은 사춘기에 접어들지 않은 아들을 키우고 있기에
아침부터 밤까지 아이에게 다 널 위해서라는 핑계로
쉴새없는 잔소리를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되었다.
학습의욕도 없고 하고싶어하는 것도 없는 아주 게으른 아이로 비춰지고 있지만
사실은 실패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싸여 불안을 느껴서라고 한다.
자부심이 낮은 아이에게 비난을 퍼붓는것 만큼이나
칭찬을 퍼붓는 방법도 좋지 않다.

1부 10대 남자아이의 심리탐구
10대는 육체와 정신,감성 모두 큰 변화를 겪는시기다.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믿어야하며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고
그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같은 문제를 고민한다.
자기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려면 아이는
부모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사춘기가 되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변화는 부모와 말하기 싫어하고
자기방에 들어오는 것도 참지 못하고 사고능력은 폭발적으로 발전한다.
또한 아들이 하는 모든 새로운 모험과 실험을 존중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유년기나 성년기보다 훨씬 더 강렬하고 깊은 감정을 느낀다. 새롭게 솟구치는 욕구와 해야하는 경험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모르며 가끔은 통제 할 수 없는 강력한 충동에 사로잡힐때도 있는데 아이가 어떤 감정에 압도되어 있을때는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게 도와줘야하는 것이 부모이다.

2부 아들의 친밀한 협력자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아들은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다.
자기조절능력-불안하고 자신없고 쉽게 낙심하는 상태에서 벗어나 단호하게 성공할 수 있는 상태로 나아가는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자율성-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아들이 의욕을 가지고 무언가를 해낼 마음을 갖게 할 최상의 방법이다.
그렇게 하기위해서는 부모와자식 사이에는 경계가 필요하다.
자율성을 길러주기 위해서 필요한것
아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잇게 해주어야 한다.
즉각 구조하는 부모는 되지 않아야 한다.
아들이 자기견해를 갖게 해주어야 한다.
아들이 특별한 활동을 거부할 자유를 주어야 한다.
건물이 아니라 발판이 되어주어야 한다.
아들이 완벽할 수 없음을 받아들여야 한다.
늘 같은 속도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만족은 뒤로 미루어야 한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 초점을 맞추자
불확실함을 참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당신이 아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성공이 아닌 성장을 위해우선 자비로운 마음으로 들어주어야 한다.
그러면 아들이 당신을 맏고 계속해서 말할 수 있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으며 실제로 실행하는 한계를 정해주는 일이다.

[갈매나무]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를 읽고
아이를 바라보는 불안함은 잊고 아이 스스로 부딪히며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를 믿고 자아를 찾아 성장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아이와의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가며 아이를 끝까지 믿어주고
언제까지나 아이옆에 있으며 힘이 되어줄 수 있는 부모가
되기 위해 오늘부터라도 작은것부터 실천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