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리 질러서 미안해 - 소리 지르고 후회하는 대신 아이와 더 바람직하게 소통하고 관계 맺는 법
로나 레너 지음, 김아영 옮김 / 한문화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도 아이에 대한 미안함에 눈물을 흘리게 된다.
'아까 좀 참을걸' '아이에게 너무 심한 말을 했어'
아이의 사소한 행동이나 말로 인해 나의 감정이 흔들려 화를 내고 소리 지르고
아이에게 나의 화를 쏟아내고 아이탓으로 비난하고...
아이는 갑자기기 무섭게 바뀐 엄마를 보고 슬퍼하고..
나는 또 화를 내고 후회하고 또 화를 내고 ....
왜 소리를 지르는가?
먼저 나 자신 에 대해 알아가기가 중요하다.
자기관찰하기(self-observarion):비난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감정,행동에 익숙해지도록 이끄는 것으로 소리를 덜 지르기 위한 기본과정으로 아주 중요하고 유용한 습관이다.
자기자신을 관찰하겠다는 생각을 떠올리려면 연습을 해야한다.
호흡과 몸의 감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이 연습은 그순간 일어나는 일들을 꾸준히 의식하고 방해물이나
스트레스가 쌓이는 상황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도움을 준다.
마음챙김 연습:평소 전혀 생각지 않는 대상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얻는 순간순간의 자각을 말한다.
판단이나 비난하지 않고 관찰하기: 자신을 비난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감정,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알아차리는 일은 중요하다.

소리를 덜 지르기 위한 일상속 전략
추적기법 : 행동의 계기와 시간에 따른 반응 양상을 지켜보면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하는 기법으로 행동을 바꾸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추적효과 :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관정과 함께 아이들의 행동에 대응하는 방식을 바꾸기위해 슴관과 반응을 더 민감하게 의식하고 받아들이기에 훌륭한 방법이다.
1단계 : 사건 기록하기
2단계 : 자신의 반응 기록하기
3단계 : 자신의 대응 기록하기
4단계 : 결과 기록하기
자기연민 : 자기가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이해하면서 마음이 편해질수 있다.
친구 대하듯 나를 대하기: 당신 자신을 측은히 여기고 상냥하게 대하는 법을 알고 사랑과 존준으로 대해야 한다.

[소리 지르지 않기 위한 5단계]
묻기: 나는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가? 어떤 생각들이 고조되고 있는가? 내감정을 받아들이고 생각을 재구성할 수 있는가?
숨쉬기:숨을 쉬면서 부드럽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
마음 가라 앉히기:긍정적이거나 현실적인 생각을 하면 마음이 차분해진다
아이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판단하기:아이의 기질고 나이에 대해 생각하라. 아이에게 행동의 결과에 대해 격려가 필요한지 확실한 한계선이 필요한지?
공감하기:아이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이해한다고 말해주라.

[훈육의 4가지 요소]
의사소통: 짧고 구체적이고 단순하게 직접 얼굴을보며 격려하는 말을 건네라
선택:진실하고 간단하게,허락을 구해서는 안되고 당신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하라.
결과:가족들간의 규칙을 만들라.아이에게 필요한 규칙과 행동의 결과를 조절하라.아이에게 행동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결과를 활용하라.
교감:아이와 일대일로 마주하는 시간을 마련하라.아이의 감정을 궁금해하라.마음에 앙금을 남기지마라

[한문화] 소리 질러서 미안해를 읽고 왜 소리를 지르는지 소리를 지른다고 힘든 사황이 좋아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리지르는 행동을 바꾸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는 소리를 덜 지르겠다는 단호한 자기의지와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아이의 행동과 욕구에 대해 좀더 차분하고 참을성 있는 태도를 유지하려면 더 많이 배우고 생각하고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아이를 존중하며 아이와 소통하며 공감하는 부모가 되기위해 나를 먼저 사랑하고 사랑으로 바라봐 주는 마음부터 키우는 연습을 해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