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위성 캔돌이를 쏘아라! ㅣ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6
지호진 지음, 이창우 그림, 구본철 감수 / 동아출판 / 2015년 12월
평점 :
동아출판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과학이야기
인공의성 캔돌이를 쏘아라


글 지호진/ 그림 이창우/ 감수 구본철
울집 로이군!
융합과학이야기 시리즈를 아주 재미나게 잘 읽더라구요
그런데 융합과학이 뭔가 저도 넘 궁금했는데요.
국어,사회,과학, 수학등 다양한 장르를 하나의 책으로 융합과학이야기로 다방면으로 접 할 수 있답니다.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시리즈만 읽어봐도 융합과학이야기를 융합 지식을 쉽게 받아들이는 비법은 한 가지 주제로 과학, 수학, 인문예술, 기술공학 지식을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입니다. ‘인공위성, 날씨, 기차, 시간’과 같이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주제 속에서 주인공이 펼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완전한 융합 지식을 만날 수 있어요.
지식은 네이버친구가 다 알려주니
우리는 융합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는지 궁금한 점을 다방면으로 어떻게 공부해나가는지
융합과학이야기 시리즈로 많은 정보와 지식을 한번에 습득할수 있어 좋은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의 호기심을 풀어주기 딱 좋은 책같아요~

목차를 살펴보면
인공위성에 떠 있는 우주
우주로간 인공위성
친절한 인공위성
인공위성의 성공적 발사~~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시리즈 책을 살펴보니 과학원리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실 생활에 활용 되는 것과 우리생활에 얼마나 편리하게 해주는 알수가 있어요. 무거운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고 나더니 아이들 신기하고 재밌어하네요.
깡통 모양의 인공위성인 캔돌이가 자기 자신을 설명하면서 시작되요.
대한민국 인공위성이며, 자기 처럼 생긴 위성을
캔위성이라고 소개를해요. 인공의성이 머물고 있는 우주이야기도 재미가 솔솔해요~
태양계,은화가 그림으로 표현되어 아이들이 지루해하지 않고 읽을 수 있어요.
지구가 사는 태양계 행성의크기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지구,금성,화성,수성을 볼수있어요.
인공위성은 설계와 조립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인공위성 만드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줍니다.
인공위성을 만들었으니까 쏘아올려봐야겠죠?
단계별 시험을 거쳐 우주로 쏘아 올려지는 과정도 나와있어요.
STEM속 교과쏙이란 이름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이었던
신기전과, 우주 발사체와 미사일의 차이점 아이가 궁금했던 내용 술술 풀어주네요.
인공위성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수있어요.
1. 날씨를 알려줘요.
2. 과학 연구에 참여합니다.
3. 통신의 미래를 앞당겨줍니다,
4. 군사시설을 살핍니다.
5. 원격탐사에 이용한답니다.
6. 위치 찾기의 달인으로 활약한답니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다양한 일들을 많이 하고 있네요.
풍부한 사진 자료, 세밀한 그림, 만화식형식 구성으로 서체 및 시각화까지 우리아이가 읽기 좋으며 아이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정보를 습득 할 수 있어요.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캐릭터들이 옆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함께 과학융합이야기를 읽고 함께 과학의 세계를 재미있게 여행 할 수 있어 좋으네요.
인공위성에 한참 관심을 보이며 많은걸 알고싶어했는데
엄마에게서 얻는 정보로는 부족했던 아이가...
융학과학이야기 인공위성 캔돌이를 쏘아라! 를 통하여
인공의성의 이모 저모를 재미나게 스스로 알아가는 재미가 솔솔한 모양이예요.
과학을 유난히 좋아하는 우리아이에게 융학과학시리즈는 인기만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