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강의 다리 ㅣ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87
이임숙 글, 오정택 그림 / 마루벌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한강의 다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우리 역사이야기;

글 이임숙/ 그림 오정택
서울나들이 가서 지하철을 타면 한강다리를 지나가게되는데요.,
아이들은 한강을 보다보면 감탄사가 절로나와요...
우리나라 수도 서울이 한강이 있어서 수도로 정해젔을정도로
한강의 다리에 대하여 알고있으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표지를 보니 한강다리와 남산이 보여요~
실사를 보는듯한 착각이 들정도네요~

한강, 그리고 한강의 다리
한강이 있어 우리나라 수도로 정해지기도 했지요. 대한민국의 젖줄이라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기억이 새록 새록 납니다.
한강은 도심속 휴식공간이기도해요. 세계 어디에도 도시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큰 강은 없어요. 그래서 인지 우리나라의 놀라운 경제 발전이 되기도했어요. 한강다리를 수많은 사람과 차들이 오가는 한강다리입니다.
각각의 한강다리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도하고 새로운 다리를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도 몰라요.
한강다리를 보면 우리의 삶과 역사를 볼수있어요.효자 다리라고도 불리는 정조의 배다리. 아버지를 보러가기위해 한강에 배를 일열로 줄지어놓고 상판을 올려놓은후 건너기도했지요. 최초의 한강다리이지요
잠수교는 비가 많이 오면 꼬르륵 잠수하는 다리 위쪽엔 다리가 하나더 설치되었지요. 아이들이 그러네요 엄마 다리가 잠기면 어디로 다녀요? 다리가 잠기면 물이빠지기를 기다리고 다른 다리로 건너야지....,
1988년 서울에서 열린 제24회 올림픽을 기념하여 만든 올림픽대교. 한강의 다리는 서로 다른 생김새와 이름처럼 담고 있는 이야기도 다릅니다. 다리 맨윗쪽에 올림픽때 성화조각이 올려져있기도해요.
한강대교는 땅과 사람과 마음을 갈라놓은 6.25 전쟁 당시 무너지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6.25전쟁하면 가슴이 저미도록 아프지요.. 한강대교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기도했어요.
성수대교는 사람들의 안전 불감증 때문에 무고한 시민들의 목숨을 앗아간 끔찍한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성수대교 무너졌을때 기억이 새록 새록... 성수대교 사고이후로 다리도 관리가 필요하다는걸 알아서 요즘에는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하지요.
아픈 역사를 담고 있는 다리도 있지만, 도시가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을 준 다리도 있습니다. 허허벌판이던 강남에 큰 아파트 단지를 들어서게 한 한남대교, 모래땅에 불과한 여의도를 지금의 빌딩숲으로 만든 마포대교도 있습니다. 할머니 무릎에 누워 한강다리의 역사 이야기를 듣고 있는 착각이 생기기도해요. 우리 삶과 역사 문화 경제등을 재미나게 알아 갈 수 있어 넘 재밌다고하는 아이들입니다.
한강의 다리를 그림으로만 봐도 우리의 역사 흐름을 알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