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말
최민호 지음 / 황금가지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다가 놓을 수가 없다. 엄청 재미있다. 좀비라는 판타지적 설정에, 한국의 정부와 재벌과 개인들을 그대로 던저놓은 것같은 현실감이 만들어내는 조화 또는 부조화가 매력이다. 판타지와 그에 대비되는 현실감이 마치 마술적 리얼리즘처럼 묘하게 위화감 없이 어우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백한 말
최민호 지음 / 황금가지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민호 작가의 첫 장편소설인 <창백한 말>을 읽었다. 작가가 전작 단편들에서 보여주었던 간결하고 단단한 문장과, 피도 눈물도 꿈도 희망도 없는 하드보일드는 여전했다. 그리고 이미지를 보여주는 듯한 생생한 묘사가 더 탁월해져서 영화를 보는 것처럼 술술 읽혔다. 읽으면서 문득문득 이 인물은 배우 누구누구가 어울리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의 매력은 좀비라는 판타지적 설정에, 한국의 정부와 재벌과 개인들을 그대로 던저놓은 것같은 현실감이다. 판타지와 그에 대비되는 현실감이 마치 마술적 리얼리즘처럼 묘하게 위화감 없이 어우러진다.

일단 도입부를 요약해보면, 배경은 좀비 바이러스가 퍼진 지 26년이 지난 한국이다. 좀비에게 물려도 좀비가 되지 않는 체질의 '면역자'와 그렇지 못한 '보유자'가 계급적, 경제적, 지역적으로 나뉘어져 살아간다. 보유자는 취직도 어렵고 각종 차별을 당하는데다 비싼 약을 정기적으로 먹어서 좀비 바이러스의 발현을 억제해야만 한다. 구인제약은 보건당국과의 공조하에 약을 팔아 이익을 챙기는 문어발식 대기업이다. 구인제약은 새로운 약을 팔기 위해 바이러스를 더 강력하게 개량하고, 오래된 약은 보건소에서 보급용으로 나눠주는데, 보급용과 판매용은 품질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구인제약에서 해고당한 수진은 딸에게 보급용 약을 먹였다가 딸을 잃고 만다. 바이러스의 치료약을 만들겠다는 꿈을 가진 세영은 구인제약의 연구원이면서도, 구인제약에 반기를 드는 비밀조직의 일원이다. 세영의 동생 미영이 보급용 약의 실체를 폭로하는 기사를 쓰다가 의문을 죽음을 당하자, 세영은 동생의 죽음을 파헤치려하면서 동시에 수진과 합세하여 구인제약에 소송을 건다. 이 꿈쩍도 하지 않는 시스템 속에서 일군의 사람들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도 하는 심정으로 시스템에 균열을 내려 한다. 그러나 사건의 배후에는 뜻밖의 우연이 있고, 시스템에 반기를 드는 자와 시스템을 유지하는 자들이 엎치락뒤치락하며 공격과 반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누구도 의도하지 않은 지옥이 뒤따른다.

같은 제목의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과 추혜연의 웹툰도 좋았지만, 최민호 작가의 소설이야말로 제목과 내용이 가장 잘 어울리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 소설에는 "우리는 운전사가 사람을 깔아뭉개라고 엑셀을 밟으면 그대로 뭉개야 하는 트럭이다"라는 표현이 나온다. 이 "보이지 않는 운전자를 태운 트럭"의 묵시록적인 버전이 바로 "사신을 태운 창백한 말"이다. "운전사와 트럭"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비유는 우리 생활 속에도 많다. 정치 기사에서는 "몸통과 꼬리"라고 부르고, 밀그램의 실험에서는 "권위자와 권위에 복종하는 자"라고 부르며, 요한계시록에서는 "사신과 창백한 말"이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우리는 트럭이며 또한 창백한 말이다. 위에서 까라고 하면 깐다. 이 명령이 몇 단계 위에서 출발한 것인지 궁금하기는 하지만,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다. 그렇게 국정원 직원들은 댓글을 달았을 것이다. 바로 위의 상관이 지시한 것이지, 원세훈이 지시한 것인지, 그보다 더 위에서 지시한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들 그렇게 누군지도 모르는 운전사가 모는 트럭으로, 기수가 모는 말로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내 등 위에 탄 것이 사신임을, 그 뒤를 따르는 것이 지옥임을 알게 된다면 우리는 과연 걸음을 멈출 수 있을까? 우리는 이미 우리 스스로 결정하지 않고 누군가의 명령만 기계적으로 따르는 좀비가 되어버린 것은 아닐까? (이렇게 지시하는 자와 실행하는 자로 나뉘어진 수직적인 시스템과 대척점에 있는 것이 소설 속에 나오는 수평적인 점조직인데, 이 또한 문제가 많다.)


자, 이제 한국의 현실을 보자. 보건당국은 메르스 사태 때 부실대응은 물론이고, 국민이 아닌 병원측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를 차단했다. 국민연금은 국민의 돈 3천억원을 손해볼 것을 알면서도 삼성계열사의 합병에 찬성하는 등 국민이 아닌 재벌을 위해 유용되었다. 재판부는 삼성그룹의 경영권 상속을 위한 각종 비리와 뇌물수수와 부정부패에 무죄를 선고했다. 언론은 자식을 잃고 진상규명이라도 하려는 세월호 유가족들을 불순분자라고 매도했다. 세상은 이미 금수저와 흙수저로 나뉘어져 있다. 현실은 이미 소설과 똑같은, 좀비 하나만 없는 평행우주다. 우리는 이 소설을 좀비가 나온다는 이유만으로 판타지라고, 픽션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이러한 한국적 상황에 기반한 사회파 장르문학이라는 점이 이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이다.

기타 재미있는 요소들이 많이 나온다. 결말에서, 한 사람의 생명과 전 세계의 안녕 사이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세영의 선택은 수퍼히어로 영화와 이 책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생생한 캐릭터 묘사가 작품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자신이 좋은 사람이라고 믿는 위선에 가득찬 사장, 죽는 순간까지도 유머러스하고 수다스러운 도마뱀, 너무 멋진 탐정 명철, 무서운 젊은이 규혁 등등.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한가득 나오고, 설정된 상황에서 캐릭터에 맞게 일관되게 반응한다.

우리는 지금 군인이 아니라 트럭 같은 거라고 하더군. 운전사가 사람을 깔아뭉개라고 액셀을 밟으면, 그대로 뭉개야 하는 거라고 말이야. 알겠나? 아무리 뒤를 캐봐도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그런 트럭들밖에 없어. 그걸 운전한 놈들은 보이지도 않고, 어쩌면 아예 없을지도 몰라.

수직적인 것은 효율적이지만 언제나 치명적인 약점을 안고 있지요. 머리를 자르면 손발은 그저 덩그런 살덩어리, 즉 무용지물이 됩니다. 고등동물의 두개골이 단단한 이유는 명령을 내리는 뇌를 보호하기 위해서라, 이 말입니다. 그러나, 그러나 말이죠, 수평적인 것은 비효율적인 만큼 끈질기게 살아남는 데는 일가견이 있죠. 이것은 정체를 가늠하기 힘든 존재입니다. 세포 하나하나마다 제각기 사고를 하는 생물을 생각해 보세요. 어떤 시점에는 형체가 보이다가, 시간이 흐르면 희미해집니다. 당장 잡아다가 기요틴에 쳐넣어 댕강 목을 잘라버리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죠. 왜? 어디가 목인지, 알아야 자를 것 아닙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색 인간 김동식 소설집 1
김동식 지음 / 요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함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불민한 독자가 이제야 김동식 작가님을 뵈옵니다. 과연 명성대로 legendary legend. 다른 별에서 온 것같은 작가의 상상력에 밤 하늘의 별을 다 퍼줘도 모자라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생강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수상한 식모들˝의 박진규 작가님이 필명을 바꾸셨군요. 작가 후기를 보고야 알았습니다. 그렇게 성공적인 전작을 쓴 소설가도 이렇게 생활인으로 사시는군요. 마음이 짠했지만 전작보다 훨씬 재미있고 뭉클한 소설로 돌아오셨네요. 소설 속 일꼬 회원님 버전으로, ˝그럼 된 거 아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 읽는 뇌 - 읽기의 과학과 진화
스타니슬라스 데하네 지음, 이광오 외 옮김 / 학지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박이다. 작년에 읽은 책 중 가장 재미있는 책인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만큼 재밌다. 이런 책을 발견하다니 운수대통이다! "인간은 어떻게 그렇게 책을 빨리 읽을까"라는 질문은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에서 한 챕터로 다뤘던 내용인데, 너무 흥미로운 주제라서 이걸 책 전체의 소재로 하는 책 두 권을 더 읽게 되었다. 제목도 비슷한 <책 읽는 뇌>와 <글 읽는 뇌>가 그것이다. 먼저 읽은 <책 읽는 뇌>가 더 유명한 책이지만 내용은 <글 읽는 뇌>이 훨씬 알찬 것이, 알이 꽉꽉 들어찬 5월의 꽃게같네. 일단 문체가 장식적이지 않고 간결하다. 재미있는 가설과 실험과 뇌 그림이 많이 나와서 지루할 틈이 없다. 전문적인 실험을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도 이해하도록 풀어 쓴 솜씨가 훌륭하고, 일반인이 직접 해 볼 수 있는 간단하고 신기한 인지과학 실험도 많이 소개하고 있다.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대칭에 관한 부분이었다. 좌뇌와 우뇌의 대칭과 비대칭에 관한 부분도 재미있었고, 독서와 대칭에 관한 챕터도 재미있었다. 좌뇌와 우뇌는 주로 상반되는 역할을 하는 듯 하지만, 대칭적인 부위가 동일한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e.g. 좌뇌의 후두측두가 손상되면 우뇌의 후두측두가 그 역할을 맡는 경우 등) 인간을 비롯한 지구 상의 많은 동물들이 좌우 대칭인 것은 무슨 이유일까? 이것과 관련해서 또 읽으려고 쌓아둔 책이 많이 있다. ㅎㅎㅎ 내가 왼쪽과 오른쪽이 늘 헷갈리는 것은 우리 몸이 좌우 대칭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그것보다는 뇌가 좌뇌와 우뇌로 나누어져서 있기 때문이 아닐까.


어쨌든,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나 <책 읽는 뇌>와 겹치지 않는 부분 위주로 이 책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1. Brain's Letterbox:

- 글자를 읽는 과정에는 2가지 경로가 있다. 1) 스펠링을 소리로 바꾸는 경로와 2) 글자의 의미를 이해하는 경로가 그것. 둘 중 전자만 손상된 환자의 경우는 책 내용은 이해하는데 소리내어 읽지를 못한다. 반면, 후자만 손상된 경우 소리내어 읽지만 내용은 이해를 못한다.

- 저자가 'letterbox'라고 부르는 좌뇌 후두측두(occipito-temporal)의 영역이 있다. 시각 담당 영역의 일부이지만, 문자가 아닌 기타 물체 인식 (e.g. 얼굴 인식) 영역과는 독립된다. 이 영역에 손상이 오면 시각에는 이상이 없는데도 글자를 못 읽게 된다. 뇌 분화가 덜 된 유아가 이 영역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경우, 우뇌의 대칭되는 영역에서 letterbox의 역할을 담당한다. 

- 단어를 읽을 때 사용되는 뇌의 부위가 단어에 따라 다르기도 하다: 

1) 유사(가짜) 단어(e.g. plosh)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음성 영역(superior temporal)만 활성화되고 의미 영역(middle temporal)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2) 소리나는 대로 스펠링을 틀리게 쓴 단어(e.g. wimen: women의 오타)는 음성 영역이 먼저 활성화되고 의미 영역이 활성화된다. 

3) irregular한 단어(e.g. yacht)는 의미를 먼저 이해하고 소리를 떠올리기 때문에 의미 영역이 먼저 활성화되고 음성 영역이 나중에 활성화된다. 


2. Neuronal hierarchy:

- 뉴런들은 몇 단계의 피라미드 구조를 이룬다. 하위 레벨의 뉴런들은 작은 영역(획의 일부같은)만 보고, 중간 레벨의 뉴런들은 문자 하나를 보고, 상위 레벨은 문자 몇 개의 조합을 보는 hierarchy가 있다. 윗단계로 갈 수록 하나의 뉴런이 보는 영역이 더 넓어 지는 것. 상위 단계의 뉴런 한 개는 하위 단계의 뉴런 몇 개와 연결이 되어 그 몇 개의 뉴런들의 조합을 인식하는 구조다. (이것은 컴퓨터비전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필터 뱅크/피라미드와 비슷하다.) 

- 뉴런들은 통계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조합(e.g. 'qu', 'ough', 'ea')에만 강하게 반응한다. 모든 조합을 다 담당하려면 뉴런이 엄청나게 많이 필요하겠지만, 이렇게 통계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조합에만 집중하는 방식으로 뉴런을 아낄 수 있다.

- 저자는 2개의 연속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뉴론(bigram neuron)이 있을 것으로 추측.

- synesthesia (공감각 증후군): 검은색으로 인쇄된 문자인데 특정 글자가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경우. 리처드 파인만도 그랬다고! 이런 사람들은 '5'자 사이에 '2'자를 섞어 놓으면 색깔의 차이 때문에 보통 사람들에 비해 아주 쉽게 찾는다.


3. 읽기와 대칭:

- 글자를 배우는 아이들은 글자를 좌우를 바꿔서 쓰는 시기가 있다. 우리의 타고난 시각은 물체인식을 위한 것이지 문자인식을 위한 것이 아니다. 물체인식에서는 동일한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봤을 때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에는 'b'와 'd'를 다른 방향에서 본 같은 물체라고 생각하고 헷갈리다가 독서 능력이 발달하면서 두 문자를 구분하게 된다. 

- 시각 정보는 뇌에서 교차가 일어난다. (오른쪽 영상은 좌뇌로, 왼쪽 영상은 우뇌로 입력됨) 양쪽 뇌에서 각각 본래의 영상과 거울 영상을 입력받아 두 가지가 경쟁한다는 설이 있다.

- 시각피질은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두 가지 경로가 있는데, 위쪽(ventral) 경로는 위치에 무관한 물체 고유의 특징(what)을 인식하고, 아래쪽(dorsal) 경로는 그 물체와 나와의 거리, 위치, 속도, 방향 등(how)을 인식한다. 후자가 손상된 환자의 경우 좌우가 바뀐 그림을 구분하지 못하는데, 놀랍게도 좌우가 뒤집힌 글자는 구분을 잘 한다. 이것은 우리의 뇌가 물체인식과 문자인식을 다른 방식으로 함을 보여준다. 독서 능력이 발달하면 ventral pathway에서 이미 'b'와'd'를 다른 글자로 인식하는 것이지, 좌우가 바뀐 같은 물체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 이집트 상형문자는 좌우가 바뀐 글자가 같은 의미를 갖고, 문장을 좌에서 우로 쓰기도 하면 우에서 좌로 쓰기도 한다. 이집트 사람들은 좌우가 바뀐 글자를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울 영상도 잘 구분하지 못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