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8 (10주년 특집판)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8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렌드코리아 시기에 맞춰 읽은 건 처음인데 정말 재미있다.
심지어 혼자 사업 계획까지 적어가며 읽었음. 실현가능성은 어찌될지 모르지만 미래를 생각하며 계획을 짠다는 일은 신났다.

2007-2018 메가트렌드 코리아를 읽으면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흐름을 보니 많이 바꼈다는 걸 느꼈다. 하루하루 지나가며 살 때는 단순한 것들밖에 눈에 보이지 않았는데 큰 그림으로 보니 사람들 인식자체도 많이 바꼈다는게 보인다. 저출산,초고령사회,N포시대 등 암울한 우리나라 현실에 맞춰 사람들의 니즈도 바뀌어가는 것 같다.

2017년 소비 트렌드 회고는  "아, 맞다. 그랬지."하며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집에 TV도 없고 SNS도 거의 독서 서평 용으로 이용하는 지라 시대에 뒤떨어져있는데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되서 흥미로웠다.

2018년 소비트렌드 전망을 읽으며 2018년은 어떤 해가 될까 기대가 된다. 물건만 좋다고 대기업이라고 물건을 사는 시대는 끝이 났다.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 이런 변화는 아주 반갑다. 갑질을 한 대기업 불매운동, 착한 일을 하는 기업에 대해선 '갓'을 붙여 찬양하는 글들. 대부분은 모두 '을'의 입장이기에 '을'들이 당하는 일들에 대해 감정이입이 잘 되는 것 같다.

일점호화 소비ㅡ 일반 소비재는 저렴한 것을 선호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한 가지에는 아낌없이 돈을 쓰는 현상
이 단어에 대해 공감. 물론 다 좋은 걸 쓰고 싶지만 형편이 허락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단 한가지에게 돈을 쓰는 일이라도 있어야 살 맛 나지 않을까.

워라밸 세대 출생년도 1988-1994년 생을 말한다는데 나는 W 세대(1980-1987년)과 워라밸 세대 두 세대를 걸쳐 해당되는 느낌이다. 끈기가 없고 노력이 부족하다고 기성세대들은 말한다. 하지만 워라밸 세대들은 나름 부족함 없이 살아왔기 때문에 자기애가 강하다. 기성세대처럼 회사에 평생 받쳐 몸 상해가며 충성할 생각은 없다. 돈을 적당히 받더라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나선다. 워라밸세대가 추구하는 삶의 방향이 현재 내가 생각하는 방향이 같다 . 20대,30대에 평생 직장을 다니라는 말은 가혹하다.  20대는 꿈을 찾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에서 능력있는 워라밸 세대들을 지속적으로 근무시키고 싶다면 선진국의 문화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제 야근을 밥먹듯이 하는 회사는 아마 망하지 않을까 !!

무인시스템이 만연한 시대다. 다른 사람과 마주하는 것을 꺼린다. 나도 불필요한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 매장에서 누가 말거는 것도 싫다. 무인시스템이 반가운 건 나 뿐만 아닐테다. 일자리를 잃어버린다는 쪽에서 부정적인 의견도 많지만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미니멀라이프를 지향하는 내게 더라이트폰(전화번호부 9개만 저장가능, 문자,인터넷 안됨. 오로지 통화만 가능)은 호기심을 자극했다. 하지만 미국에만 출시라니.....!(역시 갓아메리카!)

렌탈 문화가 급증하는 시대가 반갑지만은 않다. 왜 비싼 물건은 렌탈해서라도 사용하고 싶을까, 이해가 안된다. 다른 사람에게 허세부리고 싶어서 렌탈해서 잠시라도 자기 것을 만들어보는게 아닐까 ㅠ(?)

예쁜 쓰레기들이 인기라는데 사람들이 불만이 불필요한 소비쪽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돈 주고 쓰레기를 사는 셈인데.. 파는 기업만 좋은 일이고 환경면에서 좋지 않다.

요즘처럼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서는 확실한 자기 브랜드가 있어야 한다. 브랜드의 핵심은 '하나의 초점'이다. 그대가 가장 잘하는 것, 그 한 가지에 집중해 그대만의 이야기를 들려주어라. -402p


자기 주관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미닝아웃. SNS의 긍정적인 면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아직도 페미니스트에 관한 미닝아웃엔 악플들이 많이 달리는 실정이라 안타깝다.  

과도한 타자지향은 '자기밀도의 제로화'를 초래하게 된다. 자신의 욕망은 사라지고 다른 사람들이 욕망을 모방하려고 하는 맹목적 욕망만 남는 것이다.
SNS의 수많은 인간관계에 얽혀 있지만 만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개개인들이 이제 자기 자신의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행복을 찾기 위해 건강한 개인주의의 길을 선택해야 할 때다. -46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