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스쿨버스 운전사입니다 - 빈털터리 소설가와 특별한 아이들의 유쾌한 인생 수업
크레이그 데이비드슨 지음, 유혜인 옮김 / 북라이프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봐도 재미있을 것 같다. 스쿨버스 타는 학생들과의 웃기고 감동적인 이야기가 적혀 있을 거라 예상했다.
하지만 일반 스쿨버스가 아닌 노란스쿨버스다.  조금 특별한 아이들을 태우는 버스.

처음엔 버스나 아이들을 보고 놀리는 철 없는 사람들을 보고 작가는 직접 마주하며 화를 낸다. 하지만 그것이 문제 해결에 어떤 도움이 안되는 것을 알게 되고 어른이 되어도 괴롭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에 괴로워한다.

작가로 데뷔했다가 망한 후 이런 저런 일을 전전하며 실패한 인생을 살아온 작가. 실패한 인생이기에 스쿨버스운전사까지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하루하루 특별한 아이들과 함께하며 평범한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된다.

아빠랑 저는 아저씨를 제 큰형으로 생각해요.

"아빠랑 저는 아저씨를 제 큰형으로 생각해요." 이런 말을 듣기가 어디 쉬울까? 작가는 스스로가 못난 사람이라 칭하지만 굉장히 좋은 사람 같다.

정확히 언제부터였는지 모르겠다. 누구나 알아차릴 수 있는 차이의 경계가 흐려지고 이 아이들도 여느 아이들과 똑같다고 보게 된 순간은 언제부터였을까? 그래, 이 아이들은 휠체어를 타고 틱 장애로 얼굴을 일그러뜨리고 쉴 새 없이 손을 움직였다. 하지만 이제 그런 모습만으로 아이들을 정의하지 않는다. 애초에 그런 것들로 정의하지 말아야 했다. 그냥 평범한 아이들과 똑같았다. 내 아이들이었다. 빌어먹을 이 세상에서 가장 멋진 아이들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좀 부끄러웠다. 나는 내 자식인데도 하루종일 쉴 새 없이 물어보고 말하면 힘들어 가끔 짜증이 날 때도 있는데 매일 똑같은 이야기에, 똑같은 거짓말에, 똑같은 반응을 해줘야하는 아이들과 마주하는 작가의 태도를 보니 정말 천사같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배려라고 하는 행동들이 장애인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고 우리는 당연하다 생각했던 것들이 이들에겐 꿈이 될 수도 있다. 재미있고 가벼워보이는 책이지만 완독 후 덮을 때는 장애인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