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전집 2
버지니어 울프 지음, 정명희 옮김 / 솔출판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 읽으면서 느낀 건 정말 어렵다였다 ㅠㅠ
정말 읽다가 같은 문장 또 읽고 또 읽고 내가 지금 뭐하는거지 어려운 책을 볼 실력이 안되는데 붙잡고 있으니 머리만 아프구나 싶었다
내 돈 주고 산거였으면 아마 다시 책장으로 들어가 언제 다시 빛을 보게 될 지 몰랐던 책이지만 이벤트에 당첨되어 내가 읽겠다고 한 책이므로 책임감을 가지고 정 붙여서 읽었다 ㅋㅋ
애기 재우고 틈틈히... 읽으니 역시나 끝이 났고 그래도 한권을 다 읽으니 내용 이해가 아주 조금 되었는데 뒤에 옮긴이의 해석이 있다 ㅠㅠ 사랑해요...
댈러웨이 전공하신 분이셔서... 읽으면서 아~ 작가가 이런 의도를 가졌구나 하고 이해했다.
버지니아 울프라는 작가에 대해서... 태어나 13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정신질환 증세 발현.... 몇 년 지나 아버지 돌아가시고 재발현... 몇 년 뒤 오빠 장티푸스로 죽고.... 1차 세계대전... 집도 불타고....
결국은 자살(익사)로 생을 마무리 한... 뭔가 마음이 안좋았다. 그래도... 유작들이 높이 평가되고 있고 여러 사람들이 읽고 연구하고 공부하니 다행이다 해야하나.ㅠㅠ 암튼..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고 하는데 정말 읽기가 어려웠다 네이버의 설명에 따르면 현대 문학의 위대한 고전에 속한다고 한다... 앞으로 좋은 책/고전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절실

소설은 꽃은 자신이 직접 사겠노라고 댈러웨이 부인은 말했다.로 시작한다.
그날 밤 댈러웨이 부인이 파티를 열기 위해 꽃을 사러 나가는 것으로 시작하여 파티가 정점을 이루면서 끝난다. 350페이지되는 양에 하루 동안 있었던 일이 서술되어 있다.

피터 월시라는 댈러웨이 부인과 30년 전 사랑을 했던 남자가 나온다. 그 남자는 자유로운 영혼이며 시인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모든 걸 나누고 싶어한다. 하지만 댈러웨이 부인은 고독과 외로움이 필요하다. 청혼을 거절했고 피터 월시는 실연의 아픔을 견디지 못하고 인도로 건너가 실패한 결혼을 하고 5년 만에 영국으로 돌아와 댈러웨이 부인을 만났다. 댈러웨이 부인은 옛 사랑의 실패한 인생을 안타까워하면서 피터 월시와 결혼했으면 어땟을까? 상상하기도 한다.

셉티머스라는 남자. 전생에서 돌아와 성공한 삶을 사는 것 처럼 보이는 남자. 이 남자는 정말 정신이상자처럼 보였는데 의사가 본인을 병원에 입원시키려고 온 줄 알고 멀쩡한 정신으로 돌아오고 나서 자살하는 모습을 보고 뭐지 했었는데 해석에는 '이렇게 영혼의 독립성을 중시하며 자신을 격리시키는 극단적인 행동은 바로 셉티머스의 자살과 같다고 할 수 있다.'라고 나와있다.

한번도 본 적 없고 모르는 사람. 셉티머스의 죽음을 파티에서 전해 듣고 혼자 방으로 올라가 그 남자의 죽음을 상상하고 느낀다.(죽임의 비전에 유혹을 느낀다.) 그리고 옆집 혼자 사는 노부부가 불을 끄고 침대로 가서 잠을 청하는 과정을 지켜본다.  (홀로 늙어가는 옆집 노부인에게서 인간의 위엄성을 발견하고, 자신을 그녀와 동일시한다)

그녀가 셉티머스의 죽음을 처음 접하고, 그가 삶을 중단시켰다는 데 괴로워하지만, 곧 자신이 매일의 삶 속에서 더럽히고 있는 것을 셉티머스는 지켰다고 부러워한다. 

어렵다 어려워 해석을 봐도 이해가 안되는 것도 있고
그래도 오랜만에 어려운 책 읽으니 뭔가 정말 책을 읽은 느낌이다.히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