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사람의 조건 휴탈리티
박정열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인간은 인간 자신의 정체를 스스로 물으며 탁월해지기에, 묻는다는 사실보다 더 귀한 일은 없다."


사람과 조직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를 붙들고 몸부림치다 인간의 가장 궁극적인 토대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 할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슈퍼 기계와 다른 인간만의 고유한 어떤것을 그는 감수성과 감지성이라고 부르고 있다.

인간은 인간 자신의 정체를 스스로 물으며 탁월해지기에, 묻는다는 사실보다 더 귀한 일은 없다.

물음이 집요할수록 탁월한 사유의 시건은 더 높아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물음의 수즌이 바로 저자가 말하는 감수성과 감지성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자신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상을부터 들어오는 삼라만상을 예의 주시해 받아들이고

이를 본질적 성찰을 통해 해석 할수 있다면 우리가 만들어가는 기계 문명의 방향을 바람직하게 고집할줄 아는

인재가 될것이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것"에 대한 갈망 심각하게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초불확실성의 시대에는 모든것이 안정적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하다.으로 인간성이 위협받을지도 모른다는

발안감마저 더해지면서 우리에계 확실한 것은 더 이상 없어 보인다.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역설적으로 더 확실해지는 것이 생겨나기 마련인법, 바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언 것'에

대한 갈망이다.


이책은 사회가 제시했던 각종 인재상에 맞추기 위해 참다운 우리 지산을 억압하고 왜곡해야만 했었던

직장인들의 현실을 고발하고, 대안으로 우리 안에서 등불처럼 타오를 인재성을 제시한다.

심각하게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그 어떤것으로도 대체 할수 없는 인간의 고유 영역이 있다'

"불안했던 미래가 이제는 탱고 한판 추고 싶은 기대로 바뀐다"


인재상 너머의 인재를 보는법

창의력이 뛰어난 인재

1. 가치판단 - 인간이 의미있는 가치를 만들수 있는 최상위 능력은 창의력이다.

2.사살적 기준 - 우리 조직에서 팡의는 문제를 대하는 새로운 관점이다.

3.행동지침 - 문제를 대할 때 기존과 다르게 보고, 기존 것을 새롭게 조합하라.


우리가 지킬것은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이다.

미래의 직업과 관련해 세가지 수상 스포츠를 예를 들어 생각해 보자

조정,래프팅, 서핑 세가지 수상 스포트 중에서 미래 인류의 직업 세계에 가장 가까운 것을 꼽으라면?

얼마나 줄어드는가 보다 어떻게 바뀔것인가가 중요하다

1.미랭 새롭개 등장할 일자리는 무엇이며, 지금의 일자리는 어떻게 바뀔까?

2.미래는 인재를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인재상이 우리 앞에 등장할까?

3.미래에 홀대받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할까?


미래에는 사라지는 일자리 못지않게 새로운 직종이 많이 생겨날것이다.

물론 그런 일은 고도의 창의력과 융통성을 요할 것이나 일하는 방식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너의 의미를 체계를 알라

"너 자신을 알라, 너의 의미 체계를 알라"

기계와 달리 우리가 여전히 우위에 있는 영역은 무엇인가?


물음료와 느낌표로 인재성을 밝히다.

"느낌을 말하고 이를 해석해내는 역량은 인간만이 발휘할수 있는 유일한 영역이 될것임을 정확하게 찌르고 있다"


"당신이 생각하는 대로 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머지않아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비록 그끝을 알수 없으나 늘 물길을 맑게 고집하는 것이 우리 삶에서 본직적인 것임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미래는 먼저아는 사람이 아니라 깊이 깨닫는 사람이 주도한다"

깊은 깨달음은,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게 우리를 이끌것이다.


AI시대가 내 삶속에 깊이 들어온거 같다.

오래전에 들어왔을텐데 느끼지 못한것일 수도 있다.

미래를 위해 준비를 해야 할때인거 같다.

지금은 우리가 서서히 준비해서 다가올 미래에 적응하는 시기이지 않을까?


우리가 생각해야할 질문을 던져주는 책

우리는 미래에 무엇이 될것인가?

미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와 세상의 관계는 어찌되는 것인가?

한번쯤 읽어보고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시간을 갖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