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와 수다 떨기 2 명화와 수다 떨기 2
꾸예 지음, 정호운 옮김 / 다연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전공자가 아니라면 미술작품을 예술작품을 그냥 보는 것으로 즐길 뿐, 그 이면에 숨겨진 히스토리, 작품속에서 말하고자 하는 작가의 이야기를 알 수 있는 기회가 그닥 없다

물론 많은 책들이 시중에 나와있고 인터넷을 통해서도 검색하면 이정도는 찾기 쉽다고 할 수 있지만 그렇게까지 찾아보고 공부(?)를 하기엔 개인적으로 더욱 관심이 가고 중요하다 여기는 분야에서 뒤쳐지지 마련이다


우연찮게 읽게 된 명화와 수다떨기 책!

정말 명화와 저자와 수다를 떨게 되었다

가까운 지인이 재미난 이야기를 그림을 보며 해주는 시간 같았다고나 할까?


물론 많은 작품과 예술가를 알지는 못하지만 가끔 등장하는 낯익은 이름과 그림은 나를 더욱 흥분시키기도 했고, 지역에 살다보니 예술작품 전시회도 잘 없었던 나에게 문화생활을 듬뿍 선사한 기분이라고나 할까?


 





 


아이를 키우다보면 감성이 메말라 간다는 기분이 들 때가 종종있는데

그림을 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뭔가 예술의 혼, 감성의 혼이 살아나는 기분?! ㅎㅎ


회화계의 레전드 알브레히트 뒤러, 반항아 귀스타브 쿠르베, 수수께끼 같은 남자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 최고의 인기남들에게 둘러싸인 여자 베르트 모리조 등등


요새 페미니스트가 유행이라 그런지 베르트모리조의 그림이 남달라 보인다. 여류화가.

다른 뭇 화가들보다도 더욱, 아니 가장 심하게 미친 여류화가. 인상주의 화풍을 꿋꿋하게 고집했던 그녀

다른 남자 화가보다 지명도가 낮았던 여류화가. 재능의 문제가 아니였는데 그당시에도 미술계의 거장이 되기 위해선 경제적 여건, 부모의 지지, 남편의 지지가 필요했다

지금이나 그때나 여자들의 출세와 꿈을 향한 길은 참으로 길고도 멀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그녀는 뱃속부터 갑부였고 명망있는 예술가 집안 출신이다

어찌보면 성공못하는게 이상한 상황에 있었던 그녀

그녀는 주변 사람들을 모델로 그림을 많이 그렸고 그래서인지 따뜻함과 평온함이 느껴진다

역시 여자라서 그런지 여자의 내면세계를 잘 표현해내었다

그녀의 필살기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꿈을 펼치는데 뒷받침해주는 환경과 조건을 다르겠지만, 그녀만의 필살기가 있었기에 그의 작품은 반짝인게 아니였을까?


수다시간이 이렇게 유익하고 재미나니 더 이상 무엇을 바랄것인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