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니멀 메이킹 ㅣ 시공 청소년 문학
남상순 지음 / 시공사 / 2018년 11월
평점 :
청소년 문학
SF소설
앞으로 아주 더 나아간 미래에 있을법한 시대
그것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벅찼다
2071년... 그 시대는 오긴 오는걸까?
내가 2000년에 대학교를 입학할때, 사람들은 혼돈과 불안, 설렘에 휩싸였었다
00학번이라는것의 신기함, 2000년이 시작됨과 동시에 우리 지구에, 우리나라에, 세계에 어떠한 급작스럽고 이상기괴한 일이 생길것인지...불안과 초조에 말을 지어내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막상 그 시대가 오고...지금은 아무렇지 않게 현실을 살아나간다
정말 별일이 없었다
그런데 2071년이라....어떠한 일이 닥칠까?
무언가 긍정의 에너지도 느껴지지만 부정의 에너지도 급습해오는건 나만 그런걸까?

주인공 홍리는 한스를 만난다
떠돌이구역에서 오래된 고물 봇을 만나게 되고
그의 절박한 외침과 목소리에 이끌려 그를 집으로 데려오는 상황이 생긴다
집이라고 표현하면 될런지? A-city라고 표현되는 홍리가 거주하는 지역은 사람과 감정과 인정은 배제된 느낌이 많이 들어 집이란 표현이 잘 매치가 되지 ㅇ낳는다
그 봇과 함께 애니멀 메이킹의 연관성을 떠올려보게 되고
함께 오래도록 할것 같은 봇의 훌쩍 떠남을 계기로 홍리는 새로운 장면을 직면하게 되는데...
인공지능시대가 오고 있다
어쩌면 기계에 의존하게 될지도, 그 기계가 모든걸 결정하고 해줄지도 모르지만
사람이라면 놓지 말아야할 것이 있을텐데...그것마저 결정하게 내어버리진 않을지 걱정이 된다
글에서 문득문득 보인다
기계, 봇이라면 가능하지 못할 생각과 감정, 그것이 생겨버린 한스
그의 독백과 대화가 먼가 여운이 남는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갖고 질문을 던지게 되는 홍리
저자는 청소년들이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을 찾기를 바라는 기대를 가지고 글을 썼다고 한다
아마도 점점 변해가는 시대에선 그것이 제일 필요하다 생각 들었는지도...
나도 청소년이 되어가는 아이를 키우고 있다
무엇이 중요한지 놓치지 않으려고 공부하는 부모중에 하나다
함께 살아갈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이 한몫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
우리 아이와 함께 멋지게 세상을 만들어보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