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한울아카데미 791
홍완석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월 19일 학술 새책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지난해 5월 출범한 푸틴 대통령 집권 2기의 러시아 대내외정책 전반을 살폈다. 모두 12명의 러시아 전문 학자들이 집필에 참여했다. 정치·경제·사회·문화·외교 등 전분야에 걸쳐 러시아를 심층 탐구했다. 푸틴이 어떤 비전과 추진력으로 ‘강대한 러시아’ 프로젝트를 추진해나가고 있는지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소련 해체 이후 국내 학계의 러시아 연구가 많이 위축됐지만, 어느새 러시아는 새로운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환기하는 학술서다. 홍완석 엮음. -한울아카데미/3만5000원.


http://www.hani.co.kr/kisa/section-005006000/2005/11/005006000200511181810951.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한울아카데미 791
홍완석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틴의 현대 러시아 우리에게 무엇인가]


◇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 홍완석 엮음/한울아카데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한·러 간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나온 현대 러시아에 관한 국내 학자들의 분석서다. 홍완석(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러시아·동유럽학과)교수가 책임집필한 이 책은 모두 12명의 전국 주요대학 교수 및 연구진이 참여해 만들었다. 러시아는 여전히 불안한 한반도 주변정세에 영향을 미치는 큰 변수일 뿐 아니라 향후 경제분야의 주요한 파트너로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국내에선 러시아에 대한 이렇다할 연구성과의 축적이 적다.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는 서너 차례의 크고 작은 위기를 넘어오면서 정치체제상으로는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경제체제상으로는 국가주의와 시장자본주의, 대외정책에 있어서는 친서방과 대서방 견제 노선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오고 있다. 책은 탈사회주의 러시아의 국내 정치경제체제, 경제개혁의 현주소와 국가발전전략, 위대한 강대국 러시아의 재건을 위한 외교정책과 세계전략의 세 차원에서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집권 2기 푸틴의 러시아 국가개혁의 실체와 성격을 입체적으로 탐구한다.


문화일보, 2005/11/11

http://www.munhwa.com/culture/200511/11/2005111101012130008004.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한울아카데미 791
홍완석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집권 2기 푸틴의 러시아 해부 >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출간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소련의 몰락이 과연 러시아의 몰락을 의미할까? 구 소련 해체 이후 서방 언론에 우왕좌왕 방황하는 모습으로만 비춰졌던 러시아.

그러나 러시아는 유엔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으로 유일하게 미국에 비견될 만한 전략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나라로, 강력한 군사력과 광대한 영토, 방대한 물적ㆍ인적자원, 그리고 여전히 첨단 우주항공 기술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세계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춘 강대국이다.

이런 전통적 강점과 더불어 러시아는 근래 들어 세계경제성장의 견인차로 거론되고 있는 브릭스(BRICs)의 한 구성국으로 무한한 잠재 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에게도 러시아는 인구 1억4천 만의  신흥시장으로,  독립국가연합(CIS) 진출의 교두보로, 철의 실크로드로 표현되는 유라시아 물류수송망의 연결고리로,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공급기지로, 첨단 우주항공기술의 요람으로 중요한  지경학(地經學)적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대(對)러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푸틴 집권  2기를 맞은 러시아의 경제현황과 국가전략을 살피기 위해 기획된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한울아카데미)이 출간됐다.

집권 1기 4년 동안 강력한 러시아의 재건, 민주화보다는 근대화  우선, 서구와 다른 러시아적 가치 중시, 유라시아 대륙의 다종교ㆍ다문명을 접변시키는 문명적 교량국가로서의 독자적 역할 강조 등의 통치스타일을 보여온 '푸틴 함장(艦長'은 집권 2기를 맞아 러시아라는 거대한 항모(航母)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 것인가.

러시아 국가체제의 성격과 특징, 경제현황과 국가발전 전략, 대외정책과 세계전략의 3장에 걸쳐 집권 2기 푸틴이 이끄는 국가개혁의 실체와 성격 등 러시아의 대내외 정책 전반을 홍완석 한국외대 교수 등 11명의 러시아 전문가들이 살펴본다.

푸틴 집권 1기 러시아를 분석해 2002년 문화관광부 사회과학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던 '21세기 러시아 정치와 국가전략'(일신사.2001)의 후속편이다. 680쪽. 3만5천원.


yonglae@yna.co.kr / 연합뉴스 2005/11/11 15:07 송고


http://www3.yonhapnews.co.kr/cgi-bin/naver/getnews_new?0520051111045001507+20051111+15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한울아카데미 791
홍완석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사회]‘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 책의 향기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홍완석 엮음/677쪽·3만5000원·한울아카데미


12명의 국내 러시아 전문가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변화를 국가체제, 경제정책, 대외정책의 3개 범주에서 심층 분석했다. 저자들은 시장 요소가 비시장적 전통사회에 확산되는 과정에서 시장세력과 반시장세력의 이원운동이 전개된다는 칼 폴라니의 이론을 토대로 러시아 내부 동학을 포착한다. 이에 따르면 결코 자유민주주의적이지 않은 국가주의와 반드시 친시장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과두 귀족 간의 역학관계가 러시아를 지배한다. 1998년의 러시아 금융 위기, 9·11테러, 유가 급등 등의 대외 요소가 국가주의에 힘을 실어 줬다는 분석이 눈길을 끈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동아일보, 2005/11/12

 

http://www.donga.com/fbin/moeum?n=books$j_123&a=v&l=1&id=2005111200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