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주론 ㅣ 문예 인문클래식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진 옮김 / 문예출판사 / 2024년 12월
평점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고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이탈리아 피렌체의 유명한 학자 니콜로 마키아벨리. 그는 군주론을 썼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집필할 당시 이탈리아반도는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밀라노 공국 등 여러 개의 독립국가들이 치열하게 전쟁을 벌이던 혼돈의 시대였다.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었던 마키아벨리는 정치적으로 뛰어난 사람이었지만 국가 내분에 의해 정권이 바뀌면서 오명과 함께 자리에서 쫓겨나게 된다. 하지만, 그는 파면된 자신의 상황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대신, 새 지도자로 선출된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고 공직에 진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그 계획의 결과는 군주론의 집필이었다. 하지만, 자신의 출세를 위한 욕망에 의해서 집필된 군주론은 실제로 그 내용이 집필한 의도를 뛰어넘을 만큼 특별하고 뛰어나기 때문이다. 군주론은 무려 50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치학 분야에서 회자되고 있는 명서이다.
문예출판사는 이탈리아 문학상 플라이아노상을 수상한 국내 최고의 단테 전문가인 박상진 교수가 번역한 군주론을 출간했다. 지금까지 수많은 번역본과는 다르게 이탈리아어 원전 무삭제 완역본으로 컬러 그림과 지도, 상세하고 풍부한 주석을 더 해 출간했다. 책은 군주론의 26장 개의 장을 모두 수록하고 있다. 서문에 로렌초 메디치 님에게 드리는 인사라는 헌사의 편지가 수록되어 있는데 최대한 군주에게 잘 보여서 출세하고 싶은 마음이 잘 나타나있는 대목이라고 느껴졌다. 자신을 최대한 낮추고 군주를 최대한 높여 미천하지만 현명한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호소하는 마키아벨리. “신분이 낮고 천한 사람이 감히 군주의 통치를 논하며 규정한다고 해서 주제넘은 일로 여기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p, 19” 하지만, 군주에게 단순히 잘 보여 관직에 오르려는 욕심과 욕망으로 쓰인 책이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회자되는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유는 실제로 책에 수록된 내용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놀랍게도 군주론에서 마키아벨리가 제시한 통치술과 처세술은 현실 정치에서도 적용할 수 있기 충분하다. 이유는 이 책이 서양 역사상 최초로 이상적인 윤리와 현실인 정치를 분리하려고 시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상과 현실을 다르게 생각하지 못하면 군주로써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백성들의 미움을 받는다는 순간의 두려움 때문에 대의를 실행하지 못하거나 혹은 순간의 민심을 얻기 위해서 국가의 재산을 고루 분배하여 나누어 준다거나 할 경우 군주로서의 권위를 쉽게 잃게 되며 쉽게 원망을 사게 된다. 때문에 마키아벨리는 군주는 백성들에게 사랑을 받기보다는 두렵게 여겨지는 편이 좋다고 하단다. 하지만, 그가 인자하고, 정직하고, 자비로운 군주의 모습을 무시한 것은 아니었다. 다소 잔인하고 인색해 보이는 행동을 하면서도 최소한 적어도 겉모습만으로는 최대한 도적적이고 윤리적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하며 16세기 로마냐 지방을 점령하여 다스렸던 체사레 보르자 공작을 언급한다.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마키아벨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며 이해를 돕고 있다. 실패한 사례와 성공한 사례를 모두 언급한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자칫 잘못 읽고 해석하면 나폴레옹이나 스탈린, 히틀러처럼 무자비한 독재를 정당화시킨다. 책을 끝까지 다 읽지 않은 사람, 대충 읽은 사람, 본인의 주관을 확립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곁들이는 사람,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왜곡하는 사람이 읽으면 아주 위험한 책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어본 독자는 왜 스탈린이나 히틀러가 그런 착각을 하게 되었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500년 당시 군주론은 맞이한 대중들이 악마의 책이라고 금서로 지정 하기고 했지만 고전은 지금까지 읽고 회자되는 이유는 분명한 이유가 있어서이다. 군주론을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한 독자는 수많은 번역본이 있지만 문예출판사에서 출판한 군주론을 읽어보기 바란다. 지금까지 출판된 군주론과는 또 다른 매력, 원서를 그대로 읽는 느낌과 수많은 주석들이 책의 선택이 탁월했다고 말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