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음으로 그리는 극락세계 - 치유와 성장을 돕는 불교 만다라, 관무량수경 컬러링북
Park Chad Sung Jin 그림, 최진혁 옮김, 무비스님 감수 / 피차일반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토사상은 아미타부처님의 원력에 의지하여 극락정토를 실현하는 명상법이 핵심을 이룹니다. 인도로부터 전파된 정토사상은 티베트와 중국을 비롯한 대승불교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신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신라시대 원효스님에 의해 “나무 아미타불” 염불이 널리 전파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 책의 이야기와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관무량수경>은 역사적 사실이었던 왕사성의 비극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에 인도 마가다국의 아자타태자가 부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자, 왕비는 이런 현실의 비통함에서 벗어나려고 기도했고, 이에 부처님은 극락세계에 대한 명상을 통해서 괴로움에서 벗어나 극락에 이르는 방법을 안내하셨습니다. 이것을 십육관법이라고 하는데, 마음을 집중하는 열여섯 가지의 삼매(三昧, samatha) 수행법입니다.


   <관무량수경>의 십육관법은 세계 각지에 전파되어 다양한 형태의 불교미술로 표현되었습니다. 이 책의 그림은 조선 시대 철종 4년(1853)에 삼각산 내원암에서 금계장환(錦溪壯煥)이 개판한 관무량수경 목판본(직지성보박물관)의 도상을 모본으로 하고, 광해군 3년(1611)에 전라도 실상사에서 판각한 관무량수경의 도상을 참조하였습니다. 여기에 인도와 동남아시아는 물론 한국과 중국의 불보살상을 수집하여 대조하고, 재미 한인 그림작가 PARK CHAD SUNG JIN가 형상화하였습니다.   


  날줄 다발과 같이 부처님의 말씀을 엮어 놓은 기록을 불교에서는 경전(經典, Sūtra)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경전의 가르침은 저마다 처한 괴로움의 원인을 통찰하고, 바로 그 괴로움으로부터 치유와 성장의 해법이 있음을 일깨우는 내용들입니다. 경전에서 제시하는 길을 근면하게 따라간다면, 그리고 참을성 있게 수련하여 자신을 정화한다면, 정신개발을 달성한 깨어있는 삶을 체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너차일드는 원하고 있다!
유이 토라코 지음, 박혜정 옮김 / 햇무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평소 우리가 생각하고 있던 당위적 가치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나의 행동을 결정하는 가치관은 일면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순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때로 자신을 타인과 사회에 끼워맞추어 스스로를 결박하는 감옥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을
이 책에서는 추적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너차일드는 원하고 있다!
유이 토라코 지음, 박혜정 옮김 / 햇무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에게 부모나 학교 선생님, 친구들이 ‘공부 못하면 안 돼’, ‘남에게 도움이 되어야 해.’, ‘제멋대로 굴면 안 돼.’, ‘굼뜨면 안 돼.’ 등의 말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말은 정말 옳은가요? 분명 지금 사회는 이러한 가치관(현세적 가치관)으로 만들어져 있으니 현세적 가치관으로 봤을 때는 가치가 있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 유리하겠지요. 하지만 원래 가치관은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스스로 자신을 망치지 않는 한 그 누구도 당신을 해칠 수 없습니다. - P28

자신을 저버리고 생명을 손상시킬 수 있는 것은 당신 자신밖에 없습니다. 이너차일드란 어떤 가치관을 믿고 그 가치관에 따라 자신은 안 된다고 믿어버린 당신 자신입니다. 그래서 이너차일드의 대부분은 울고 있습니다. - P29

어떤 가치관을 믿으면 선악에 휘둘려 감정이 생기고 사는 게 힘들어집니다. 가치관이 없으면 선으로 여기는 것을 위해 노력할 필요도 서두를 필요도 없습니다. 또한 악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 괴로움도 없습니다. 행복을 고통의 부재로 본다면 가치관을 해방시킴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떤 가치관을 믿는 것도 자신이고, 그 가치관에 따라 스스로를 안 된다고 하는 것도 자신입니다. 따라서 가치관으로부터 벗어나 이너차일드를 치유할 수 있는 것도 자신인 것입니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브 마더팅크처 - 자연으로 치유하는 동종요법판 허브요법
유이 토라코 지음, 박혜정 옮김, 하세가와 키세이 감수 / 햇무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위일체로서의 인간


인간은 영··몸의 삼위일체의 존재이며 병도 각각의 차원에서 존재합니다영혼의 병이란 자연()에서 벗어난 신앙과 가치관을 말합니다즉 잘못된 것을 믿었기에 생기는 병입니다특히 그렇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등의 생각을 억압하는 가치관이 가장 많은 영혼의 병을 만들어 냅니다하네만은 이를 신념의 병이라 하여 가장 무거운 병으로 동종요법 치료로도 고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어떤 것에 대한 믿음을 바꾸는 것은 동종요법으로도 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여기에서 호메오퍼스나 이너차일드 세라피스트의¹역할이 중요합니다영혼의 병은 마음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마음의 증상이란 감정을 말합니다.


다음으로 마음의 병이란 끙끙거리며 마음이 상할 때나 마음의 증상인 감정을 억압하는 데서 생깁니다현대식으로 말하면 스트레스입니다감정대로 행동하면 스트레스를 느끼는 일은 없습니다감정을 억압해서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입니다그것이 마음의 병입니다그리고 마음의 병은 몸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몸의 증상은 기침가래설사나 구토발열이나 발진 등입니다.


마지막으로 몸의 병이란 장기와 기관의 기능 장애나 기능 저하를 말합니다몸의 병은 몸의 증상인 기침가래설사나 구토발열이나 발진을 억압하는 데서 생깁니다혹은백신을 비롯한 부자연스러운 화학 물질을 몸 안에 넣을 때그리고 독극물을 취할 때도 생깁니다.


마음의 병은 자연스러움에서 벗어난 왜곡된 삶과 사고방식(영혼의 병)을 가졌기 때문이고그로 인해 면역이 떨어지고 이물질과 노폐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게 됩니다이물질이 몸에 쌓이면 곧 몸의 이상을 겪으며 최종적으로는 장기나 조직의 기능 장애 및 기능 저하로 나타납니다즉 몸의 병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영혼의 질병은 직접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신체 부위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생명이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삶의 목적과 함께 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생각과 잘못된 가치관은 직접적으로 생명의 흐름(Vital force)을 왜곡해 버립니다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질병의 근본이 됩니다생명에너지(Vital force)는 육체를 형성하는 힘이므로 영혼이 병들면 생명에너지의 흐름이 정체되고 그에 상응하는 몸의 부위도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교를 위한 불교기초상식 - 개정 증보판
최진혁 지음 / 한영출판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리말


이 책은 불교에 처음 입문하신 분들은 물론, 사찰을 오랫동안 다니고 계신 분이라 할지라도 사찰예법이나 불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제작된 포교용 불서입니다. 이 책을 제작하기 위해 전국의 사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불교 신행의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고 초심자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여러 스님들을 통해서 조사하였고, 불자들이 꼭 알아야 할 지식을 엄선하여 본문을 구성하였습니다.


  1986년, 이 책이 본사에서 초판으로 발간된 이래로 전국 유수의 사찰에 보급되어 왔고, 이 책이 발행된 즈음에 더욱 대중적인 차원에서 불교 포교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포교 일선에서 필요한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에서 이 책의 초판본은 수십 년 동안 한국의 불자들에게 기초입문서로서 신행 생활에 길잡이가 되어왔습니다. 


  금번에 새롭게 하여 발행되는『불교 기초상식』개정 증보판에서는 초판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경전의 성립이나 대승불교가 일어난 원인과 영향 등에 대한 부분 등 기존에 미미했던 부분들을 수록하여 책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1장 사찰예법/법회편에서는 사찰에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예절을 수록하였고, 법회에 참석하여 법회 순서에 따라 의식에 동참할 수 있게 구성하였습니다. 2장 예경편에는 불교 의식에 많이 독송되는 <천수경> 등의 내용을 새로운 해석과 함께 실었습니다. 3장 불교상식편에서는 불자들이 꼭 알아두어야 할 기초교리를 최대한 간략하게 망라하였고, 부록으로는 <불설삼세인과경>과 불교 용어사전을 초판에 보완하여 수록하였습니다. 




목차


1장 사찰예법/법회편

 

사찰예법

1. 참배법

2. 법당문을 들어갈 때

3. 문 여는 법

4. 법당에 들어가서

5. 향 꽂는 법

6. 촛불을 붙일 때 주의

7. 합장하는 법

8. 합장하는 까닭

9. 반배(半拜)하는 법

10. 삼배(三拜)하는 법

11. 삼배를 하는 까닭

12. 절을 하는 공덕

13. 향과 촛불을 밝히는 까닭

14. 불공이나 기도하는 태도

15. 스님에 대한 예절

16. 그 밖의 예절

 

법회편

1. 법회염송

2. 집회가

3. 삼귀의

4. 찬불가

5. 예불문

6. 반야심경

7. 발원문

8. 입정

9. 청법가

10. 설법

11. 각단정근

12. 불교도의 노래

13. 사홍서원

14. 산회가

 

 

2장 예경편

 

천수경(千手經)

광명진언(光明眞言)

항마진언(降魔眞言)

혜연선사발원문(慧然禪師發願文)

의상조사법성게(義湘祖師法性偈)

화엄경약찬게(華嚴經略纂偈)

 

 

3장 불교상식편

 

부처님 일대 약기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1. 초기(部派)불교 시대

2. 부파(部派)불교 시대

3. 대승(大乘)불교운동

부처님과 보살

1. 석가모니(釋迦牟尼)부처님

2. 비로자나(毘盧 那)부처님

3. 아미타(阿彌陀)부처님

4. 약사여래(藥師如來)부처님

5. 미륵(彌勒)부처님

6. 문수(文殊)보살

7. 보현(普賢)보살

8. 관세음(觀世音)보살

9. 대세지(大勢至)보살

10. 지장(地藏)보살

11. 일광보살·월광보살

수인(手印)의 세계

1. 석가모니불 근본오인

2. 비로자나불의 수인

3. 아미타불 구품정인

4. 그 외의 수인

우리나라 불교의 역사

불교상식 문답

1. 불교는 어떤 종교인가

2. 불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

3. 불교 경전의 성립

4. 가장 오래된 불교 경전

5. 가장 짧은 경전

6. `부처님'이란 말의 뜻

7. 부처님의 성과 이름

8.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곳

9. 보리수(菩提樹)

10.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곳

11. 부처님께 올리는 절의 횟수

12. 부처님의 십대제자

13. `스님'이란 어떤 뜻인가

14. 스님의 역할

15. 최초로 스님이 되신 분

16. 비구(比丘)

17. 비구니(比丘尼)

18. 최초의 비구니 스님

19. 스님들이 삭발하는 이유

20. 스님께 올리는 절의 횟수

21. 우리나라 최초의 스님

22. 스님들의 소임과 별칭

23. 우리나라의 역대 스님

24. 선사(禪師)와 종사(宗師)

25. 사문(沙門)

26. 결제(結制)와 해제(解制)

27. 안거(安居)

28. 불교의 5대 명절

29. 세계 최초의 사찰

30. 불교의 4대 성지

31.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32. 절에 탑을 세우는 이유

33. 우리나라의 삼보사찰

34. 가사(袈裟)와 장삼(長衫)

35. 공양(供養)

36. 보시(布施)

37. 보살행(菩薩行)

38. 보리심(菩提心)

39. 자비(慈悲)

40. 동체대비(同體大悲)

41. 불공(佛供)

42. 사부대중(四部大衆)

43. `불자(佛子)'라는 말의 의미

44. 부처님의 제자가 되려면

45. 계율을 받는 까닭

46. 도반(道伴)

47. 염불을 외우는 이유

48. 염불할 때의 마음가짐

49. `나무아미타불'의 의미

50. 수행을 하는 목적

51. `방편을 쓴다'는 말의 의미

52. (, karma)

53. ()와 선행(善行)

54. 육도윤회(六道輪廻)

55. 힌두교와 불교의 윤회설

56. 10가지 바른 계 선행

57. 사찰의 사물(四物)

58. 염주(念珠)

59. ()자의 유래

60. 연꽃의 의미

62. 집착이 나쁜 이유

62. ()의 의미

63. 49재를 7일마다 지내는 이유

 

 

부 록

 

불설삼세인과경

호교사상위하인전세원가대두인

꼭 알아야 할 불교용어 사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