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같이 착한 소비 - 선생님이 알려 주는 소비자 경제 이야기
조희정 지음, 나인완 그림 / 그레이트BOOKS(그레이트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희정 글
#나인완 그림
#그레이트북스 펴냄

첫째가 3학년이 되면서 조금씩 세상에 대해 알아갑니다. 금액을 지불하고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구입하는 활동, 바로 소비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집니다.

용돈기입장을 기록하면서 일주일 단위로 용돈을 받으며 스스로 물건을 사고 저축도 해보고 있어요.
첫 발걸음에 바람직한 의미를 더 주고 싶어서 읽게 된
[ 우리같이 착한소비 ] 책 소개를 해볼까 합니다.

“선생님이 알려주는 소비자 경제 이야기”
우리 같이 착한 소비

‘화수분’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화수분은 재물이 계속 나오는 보물단지예요. 지금 눈앞에 화수분이 있다면 무엇을 넣을까요? 돈을 넣는 건 어때요? 돈 걱정없이 ‘소비활동’을 할 수 있게요.

‘소비’란 물건을 사서 쓰고나 외식 및 여행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예요. 소비를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물건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생산활동’ 이라고 하구요. 물건을 만드는 과정에서 인간, 동물, 환경 등에 해를 끼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과정까지꼼꼼하게 따져 보고 물건을 사는 걸 ‘윤리적소비’ 또는 ‘착한소비’라고 해요.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세상에서 가장 멋진 소비자가 되는방법을 알아보기로 해요. 

크게 네 가지의 형태로 나누어서 설명을 했어요.

▪️ 똑똑한 소비자
소비를 위한 ‘선택’을 어떻게 할지 이야기해요.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할지 … 왜 선택을 고민해야 하는지 ‘기회비용’에 대해 알아보고 현명한 소비를 하기위해 키즈마케팅이나 광고에 대해서도 짚어봅니다.

▪️ 착한 소비자
동물학대, 동물 실험을 통해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알아봅니다. 동물 몸에 붙은 털을 강제로 뽑는 라이브 플러킹 Live plucking,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테스트를 위해 희생되는 동물들. 우리의 착한 소비는 기업이 물건을 만드는 방식을 바꾸고, 더 나아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활동입니다.

▪️ 따뜻한 소비자
사람을 위하는 따뜻한 소비를 이야기해요. 나와 비슷한 지구 반대편 친구들 노동력 착취로 만들어지는 초컬릿, 그리고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인 바나나도 사실 공정한 제품은 아니예요. 한송이 3000원 가량의 바나나를 판다면 농장의 노동자는 100원밖에 받질 못한답니다. 그리고 그 환경마저 열악해서 사람들에게 그대로 살충제가 뿌려진다고 해요. 그래서 일한 사람에게 일한 만큼 정당한 대가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회운동이 바로 ‘공정무역’ 이예요. 

▪️ 행복한 소비자
그렇다면 많은 소비를 한 우리는 최종적으로 행복할까요? 행복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 지구는 온갖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어요. 그 쓰레기들은 쓰레기섬을 만들어내요. 많은 사람들이 물건을 쉽게 사고 버리고, 망가져서 버리기도하고 싫증이 나서 버릴때도 있어요. 그중에 하나가 옷이예요. 패스트패션 fast fashion 이라는 말이 있답니다. 
지구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예요. 이러한 쓰레기들은 기후변화를 일으켰어요. 지난 150년간 지구의 평균온도가 1도나 오르기도 했어요. 온실가스가 바로 그 주범이죠.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발생량을 ‘탄소발자국’이라고 불러요. 우리는 늘 그 탄소발자국을 걷고있어요.

착한 소비는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쉬운 길과 어려운 길, 두 개의 길이 있다면 여러분은 어떤 길을 선택할건가요? 바로 쉽고 편한 길이겠죠.
그럼 질문을 바꿔 볼께요.
어려운 길은 옳은 길이고, 쉬운 길은 옳지 않은 길이라면 이번에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착한소비 , #윤리적소비 는 어렵고 불편한 길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옳은 길임에는 분명하지요. 매일 조금씩 연습하면 내 것이 될 수 있어요. 
그리고 이것은 단지 나만을 위한 선택이 아니예요. 착한 소비는 다른 사람을 구하고, 동물을 구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을 구하는 일이예요.

여러분의 착한 소비가 이 세상을 바꾼다는 것을 잊지마세요!

#그레이트북스 #우리같이착한소비 #가치소비 #초등경제 #동물실험 #쓰레기 #소비자# 공정무역 #탄소발자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