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차별하기 위해 태어났다 - 차별과 혐오를 즐기는 것은 인간의 본성인가?
나카노 노부코 지음, 김해용 옮김, 오찬호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사람들이 혐오의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즐기는 사회다.
그것은 마치 새로운 이름의 종이 나타났을 뿐
그 현상은 전혀 새롭지 않다는 것에서
자연과 같다.

저자는 차별이라는 현상을
우리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에 일어나는
무리의 생존을 위해 사회성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과물이라고 말함과 동시에,
그 중독성 행동에 스스로 제재가 가해지려면
결과가 자신의 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학습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가 말한 원인에 대해서는
또 하나의 이론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대책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이 남는다.
그런 마약적인 중독을 주는 행동을
사람이 결과만을 염려하여 멈출 수 있을까?
중독성 약물들에 대한 결과를 알면서도
끊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라지지 않고있다.

어차피 사람이 사회를 구성하고 살아가면서
무리 중에는 언제든 약자가 있기 마련이고
다름이 존재하고 모두가 같을 수가 없는 인간들에게는
차별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려야하지 않을까.

책 앞부분의 전제에서 이어서 쓰여진
개인들을 위한 대책에는
일본 여성으로써 흔히 생각해낼만한
사회적 ‘민간요법‘인
틔는 행동 하지 않기,
경쟁상대가 아님을 나타내기위해 언더독 되기,
전문지식으로 우위선점하기
등이 쓰여있어서
오히려 억압적인 사회관념만 느껴질뿐
재밌게 읽히진 않았다.

그렇다.
아직까지 ‘다른 존재의 나‘로써
차별에 맞서기위해
내가 찾은 답이라곤
다름을 버리고 사회에 스며들거나,
다르지만 월등히 뛰어난 강자가 되어서
차별을 지휘하거나
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