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오버 - 국가, 기업에 이어 AI는 우리를 어떻게 지배하는가
데이비드 런시먼 지음, 조용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순간부터 이 AI라는 것이 그닥 어색하지않아졌고 그 이후 AI알고리즘 속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느낌이다. 그리고 어느순간부터 우리는 AI속에서 살고 있다는 느낌인데 점점 더 그렇다면 AI지배속에서 AI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어진다.

편리함 등의 여러 이유로 기술을 발전시켰고 국가와 기업이 앞장섰다. 너도나도 할거없이 이런저런 것들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에 급급하고 너도나도 할 거 없이 누가 빠르게 누가 더 좋게 개발하는지가 관건이였다. 그리고 그 속에는 단연 AI도 속해있었다.

AI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이미 꽤나 익숙해져있는 단어이고 우리 실생활에 어느정도 들어온 느낌인데 이 잠재력과 영향력 파급력은 엄청나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우리의 단조로움에서 해방시켜주고 여러 질병을 보호할 수 있고 안전한 테두리에서 우리를 지켜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를 잘 살게 하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음도 맞다.

그리고 예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지금은 어느정도 실현가능해진다라는 점에 AI의 끝은 어디일까라는 생각까지 들게한다

이쯤되니 내가 알고있는 AI는 과연 어디까지인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국가와 기업이 만들었고 국가와 기업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구축했다. 그리고 이제 그 세계속에 로봇이 진입하고 있다. 우리는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자하고 새로운 미래를 일구고자하기에 우리는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상호관계를 깊게 생각해보아야한다. 그리고 그 안에는 '통제력'이라는 것을 놓치면 안된다는 것이다.

너무나도 똑똑한 로봇이다. 우리는 그 안에 무수한 정보들을 넣어두었고 어느순간 우리보다 유능하게 될 것이라는 것에는 믿어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고 그렇게 된다면? 그 똑똑한 로봇이 우리를 지배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되냐는 것이다. 굉장히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들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그 안에서도 인간과 로봇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