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창비 청소년 문학 시리즈'인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읽었던 손원평 작가의 소설 <아몬드>.
시작부터 궁금했다. 제목이 아몬드인 이유는? 이야기의 초반부 작가는 친절히 말해준다.
아몬드와 생긴게 비슷한 '편도체'가 작아 나타나는 증상으로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는 현상. 흔하지 않은 소재로 주인공 선윤재의 이야기는 흘러간다.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 아이가 자라면서 어떤 영향을 줄지 지켜봤는데
다행히도 할머니와 엄마의 사랑을 받으며 아이는 예상보다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자라난다.

그의 열여섯번째 생일날까진.

생일날 자신에게 벌어진 끔찍한 사고로 가족을 모두 잃었지만 주인공은 슬퍼하지도 울지도 않는다. 그저 살아갈 뿐. 그러다 엄마가 보통의 아이처럼 자라나길 바란다는 것을 떠올리고 돌아간 학교에서 곤이를 만나게 되고 두 소년은 점차 그들만의 우정을 지속해간다.




.
.


성장소설이란 무릇 어떻게 끝을 보일지 조금은 예측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평소엔 잘 선택하지 않는데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금세 읽힌다는 것이다. <아몬드> 또한 마찬가지인게 손에 들고 한번에 내리 읽어버렸다. 항상 담담한 윤재의 시선을 따라가며 읽다보니 사람의 감정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나는 보통의 사람들이 갖는 감정을 잘 느끼고 있는지 나 또한 어느 상황에서는, 어느 측면에서는 감정 불능증이 아닌지.

 

 

손원평 작가의 책은 <아몬드>가 처음이라 그녀에 대해서 알지 못했는데 '작가의 말'을 읽고 조금의 호감도가 더 플러스 됐다.

- 아낌없는 사랑으로 결핍 없는 내면을 선물해 주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감사한다.
한때는 내적으로 부족함 없이 자라난 것이 작가가 될 깜냥이 못 되는 거라 생각해 부끄러웠던 시절도 있다.
세월을 거치면서 그 생각은 바뀌었다. 평탄한 성장기 속에서 받는 응원과 사랑, 무조건적인 지지가 몹시 드물고 귀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부터다. 그것이 한 인간에게 얼마나 큰 무기가 되는지, 세상을 겁 없이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는 힘을 주는지, 부모가 되고서야 깨닫는다.

 

 

 


[책 속 밑줄]

081
"부모는 자식에게 많은 걸 바란단다. 그러다 안 되면 평범함을 바라지. 그게 기본적인 거라고 생각하면서. 그런데 말이다, 평범하다는 건 사실 가장 이루기 어려운 가치란다."

생각해 보면 할멈이 엄마에게 바란 것도 평범함이었을지 모르겠다. 엄마도 그러지 못했으니까.
박사의 말대로 평범하다는 건 까다로운 단어다. 모두들 '평범'이라는 말을 하찮게 여기고 쉽게 입에 올리지만 거기에 담긴 평탄함을 충족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내게는 더욱 어려운 일일 거다. 나는 평범함을 타고나지 않았으니까. 그렇다고 비범하지도 않으니까.
그 중간 어디쯤에서 방황하는 이상한 아이일 뿐이니까. 그래서 나는 한번 도전해 보기로 했다. 평범해지는 것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