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철학 - 그 어떤 기업도 절대 구글처럼 될 수 없는 이유
마키노 다케후미 지음, 이수형 옮김 / 미래의창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인터넷을 하면서 하루에도 몇 개의 검색어를 입력하며 원하는 정보를 얻고 있는데 보통의 한국인이라면 거의 네이버라는 포털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습관적이 되어버렸으니까. 예전의 야후나 다음, 네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 우리에게 제일 익숙한 것은 네이버 포털사이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은 무엇일까? 그것은 구글일 것이다.

 

 

네이버와 구글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네이버는 그 안에서 모든 것을 다 갖춰놓고 그 안에 있는 정보만 소비하려는 느낌을 받았고 구글은 구글 안에 있는

정보가 아닌 링크를 통해 다양한 출구를 연결시켜 놓은 것 같았다. 한창 팀별 과제에 치여 살던 때, 네이버에서 자료를 찾아가 발표하다 보면 거의 비슷비슷한 내용을

가지고 오기에 분명 여러 팀인데 하나의 자료 같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래서일까 나는 어느 순간부터는 네이버 보다는 구글을 사용해 과제 시 참고할 만한

자료들을 찾아보곤 했다.

 


<구글의 철학>은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 구글이 지금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어떻게 노력하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며, 어떤 사상으로 조직을 이끌어 갔는지를

다룬 책이다. 즉, 구글이 성공하기까지 어떤 스토리를 담고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이미 기존에도 구글을 다룬 책은 많았기에 나도 조금은 익숙한 내용들도 있었고

전혀 모르고 있던 구글에 대한 것도 있었는데 알고 있었건 아니 건은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그것을 알면 그대로 내 삶의 자양분으로 삼으면 되는 것이고

르고 있었으면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면 되는 것이다.


구글은 검색기능을 기반으로 그 안을 보면 구글맵, 구글번역, 구글드라이브, Gmail, Chrome 등을 비롯해서 정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룡기업이다.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이렇게 많은 서비스 중 실패한 것도 있고 성공한 것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구글의 실패한 서비스를 잘 알고 있지는 못하는데 그것은 구글에서는 실패했을 때 빨리 철수하여 더 이상의 손해를 보지 않으려 함에 있었다.

조금이라도 멈칫하다가는 더 큰 손해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책에서 재미있게 본 것 중 하나는 구글은 철저한 방식이 차이를 낳는다고 하여 키홀이라는 회사를 인수하여 구글 어스를 만든 사례인데,

구글 어스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위성사진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이 기술은 원래 구글이 제일 처음 개발한 것이 아닌 키홀을 인수하며 시작된 서비스이다.

하지만 키홀은 수요가 없는 지역의 위성사진에 대한 필요를 느끼지 못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은 반면 구글은 인수 후 지구상 모든 사진을 갖추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여 바다와 사막의 위성사진까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내가 생각했던 구글의 이미지와 또 다른 것은 구글에 입사하려면 창의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었는데, 그것은 완전히 잘못 생각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구글은 채용시 의외로 학력을 가장 많이 본다고 하며 지원자의 대학 수준, 그곳에서 받은 성적, 어떤 학위를 받았는지, SAT 점수 등이

심사 기준 중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요소라고 한다. 그래서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노느라 학업을 소홀히 한 사람들은 영원히 구글에 채용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것.

이는 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했는지가 그 사람을 대변해 준다고 보기 때문이었다.

 


이외에도 평소 구글에 대한 이미지를 바꿔줄 수 있는 여러 사례들이 많았고 구글의 다양한 측면을 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

한국의 조직문화가 강한 기업들만 봐오다가 구글의 이야기를 들으니 한편으로는 씁쓸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나보다. 많은 이들이 입사하길 꿈꾸는 기업, 구글.

그곳에는 분명 어떠한 매력이 있음에는 틀림없다. 이 책은 구글을 꿈꾸는 지원자들이 읽기보다는 구글같은 기업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 경영인들이 읽고

그들의 회사에도 꼭 적용시켜 봤으면 좋겠다. 그렇게 조금씩 국내 기업들도 변화된 모습이 보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