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소설을 집어든 첫번째 이유는 책띠에 새겨져 있던 카피와
뒷표지에 적혀 있는 추천사들 때문이라고 솔직히 고백해야겠다.
정기적으로 온라인 서점에 접속해서 신간을 체크하고
서평을 읽어보고 문학 커뮤니티의 회원으로 카페를 들락거리면서
새 글을 챙겨 보는 사람이 아닌 이상,
우리가 서점에 들러서 어떤 작품을 돈을 지불하고 구매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힘은 고작 책 뒷표지의 추천사나
책의 하단부를 감싸고 있는 책띠에 적힌 카피들 밖에 없다.
진열대 앞에 서서 책을 들춰본다고 그 책의 몇 퍼센트나 파악할 있을까.
 

그런 면에서 이 책은 가히 '마케팅의 승리'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운명이 난데없이 변화구를 던진 밤" 
"그녀는 괴물 같은 '소설 아마존'이다"
"'나는 내 아버지의 사형 집행인이었다'라고 시작하는 이 책은......."
문학을 사랑하고 소설 읽기를 즐겨하는 사람치고 이런 표현들에
쉽사리 현혹되지 않을 사람들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내가 이 소설을 집어 든 두 번째 이유는 작가가 '정유정'이기 때문이다.
작가의 대표작이라 하면 보통 <내 심장을 쏴라>가 많이 거론되겠지만
나를 흠뻑 빠지게 만들어 줬던 건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이 완벽한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내가 지금까지 읽었던 국내 소설 중에서 '몰입도'로만 따지면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수 있을만큼 이야기 속으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매우 인상깊었다.
사건의 개연성이나 5공 시절의 시대적 상황을 이야기 속에
녹아들게 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색한 모습이 느껴지긴 했지만
남은 페이지가 줄어들수록 너무나 아쉬운 기분이 들게 했던 작가의 전작은
이 두툼한 책을 망설임 없이 '선택'하게 해 주었던 가장 큰 이유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소설의 재미는 보장한다.
글과 그리 친하지 않은 어떤 사람도 최소한 2주 정도라면
마지막 장을 덮을 수 있을만큼 몰입도 하나만큼은 끝내준다.
'살인자의 아들'이라는 소재 자체는 그리 참신하진 않지만
적절하게 시점을 바꿔가면서 독자들을 지루하지 않게 만들어 주고
특히나 인상 깊은 건 주인공 최현수의 뛰어난 내면 묘사다.
그 큰 스케일에도 불구하고 한 순간도 집중력을 놓지 않게 해주며
독자들을 이야기 줄기의 끝까지 끌고 가는 그 힘은 상상 이상이다.
(이토록 압도적인 프롤로그는 근 몇년 간 도통 본 적이 없다.)
 

그래. 이 소설은 정말 재밌다.
이 소설의 장점이라고 말한다면 '재미'다.
그런데... 그것이 끝이자 전부이다.
재미'도' 있다, 가 아니라 재미'만' 있는 것이다.
 

이제부터 <7년의 밤>이 실망스러웠던 이유다.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가 좋았던 이유는 아쉬웠기 때문이다.
뭔 헛소리를 하고 있느냐고...? 말 그대로다.
이야기가 끝나는 게 아쉬운 소설은 좋은 소설이고 훌륭한 소설이다.
(작가가 벌려놓은 이야기를 수습하지 못한 채 허망하게 끝내는 경우만 아니라면 말이다)
 

첫 번째 실망, <7년의 밤>에서는 그런 아쉬움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냥 그런 식으로, 그렇게, 예상만큼 그런 방식으로 끝이 난다.
소설을 읽는 순간은 무척이나 재밌지만, 소설이 끝나도 별로 아쉽진 않다.
한 마디로 마지막 장을 덮은 뒤 이야기의 여운이 실종됐다는 의미다.
작가는 독자들의 몫으로 남겨둬야 할 상상력마저 친절하게도 스스로 대신
상상해줌으로써 우리가 최현수와 안승환, 최서원을 따라서
처음부터 끝까지 달려오면서 느꼈던 생동감마저 종국에는 앗아갔다.
소설은 서비스업이 아니다. 때때로 이야기는 우리에게 불친절해야 할 필요도 있다.
 

두 번째 실망, 이야기의 용두사미, 즉 결말이 가지고 있는 힘의 부실함이다.
일단 이 소설이 초반 부분에서 가지고 있는 흡입력은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비록 참신한 소재는 아니지만 책갈피를 중간에 꽂아두는 것이 아쉬울 정도로
흔한 소재를 이야기 자체의 강렬함으로 압도한다.
나는 1/3 정도를 읽었을 때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를 읽고 나서 느꼈던
기쁨과 우려 중에서 '우려'의 부분이 내 머릿속에서 말끔히 사라지는 것을 느꼈다.
그때 내가 정유정에게 느꼈던 우려는, 과연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나
<내 심장을 쏴라>와 같은 한정적 공간 혹은 비교적 작은 무대에서
가볍게 다루는 이야기가 아니라 큰 스케일로 풀어가는 거대한 이야기에서도
지금 보여줬던 이야기의 집중력이 과연 건재할 수 있을까 였는데
소설의 절반이 넘어가기도 전에 내가 했던 이러한 우려는 기우에 불과함을 깨달았다.
 

그런데, 거기까지였다. 분량이 넘어갈수록, 그리고 결말에 다다를수록
독자를 끌어당기는 힘은 여전했지만, 결말은 너무 평범하고 진부했다.
결말에 대한 실망감은 이야기가 종반으로 치달을 수록
어느정도 예상가능한 부분이었으니 그러한 결말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책장을 덮지 않게 해준 것을 오히려 장점이라고 해야 할까...?
어쨌건 작가는 아직까지는 장기 레이스에 확실히 약하다.
 

세 번째 실망, 너무나 진부한 인물 설정.
가해자는 전형적인 가해자의 모습을 하고 있고
피해자는 전형적인 피해자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를 관찰하는 제3자 역시 전형적인 타인의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예측 가능한 인물들의 특징에서 오는 '익숙함'은
얻을 수 있을지언정,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등장인물들에 대한
동화 과정이나 인물 파악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는 있을지언정
따라서 우리는 초반부의 복잡한 이해 관계에 시간을 쏟기 보다는
이야기에 몸을 맡길 수는 있을지언정 참신한 설정이 주는 신선함을 반납해야 한다.
'충격', '자극'과 맞바꾼 '생각'과 '깊이'라고 말한다면 너무 과장된 표현일까?
 

마지막으로 작가의 전작들에서도 느꼈던 건데
간혹가다가 이야기가 묘사하는 상황이 뭔지 이해가 안 될 때가 있다.
물론 내 이해력이 부족해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부분들이 소설 내내 그런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순간,
특히 등장인물을 처음 소개하거나 소설의 도입부분 등에서
이런 것들이 많이 느껴지는데, 뭐 읽다보면 이야기가 가지고 있는 힘이
워낙에 강렬하다보니 그다지 크게 신경쓰게 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어쨌거나 이러한 부분은 이야기의 완성도와 일관성 면에서
디테일적 측면을 조금은 세심하게 신경을 써줬으면 하는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이 소설은 '재미'와 '여운'이 트레이드 된 작품이라는 느낌이 든다.
글쎄, 어느 쪽이 더 손해일지는 각자의 판단이겠지만,
이 소설을 다 읽고 난 지금, 내 머릿속에 남아 있는 건
단순히 '재밌었다'라는 단편적인 느낌과 ,
아직도 아른거리는 책표지의 화려한 카피 문구이다.
단순히 '재미'있는 소설조차도 흔치 않은 이 시대에서
재밌었다는 느낌은 어쩌면 나쁘지 않은 찬사일 수는 있겠지만
작가가 전작에서 보여줬던 여운과 떨림 때문에 
이 작품에 대한 '재밌었다'는 평가는 결코 칭찬이 될 수 없다.
 

그녀의 대표작이자 최고작이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가 아님을
어서 빨리 증명해줄 날이 왔으면 좋겠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 작품이 그녀의 정점은 아니라는 것과,
아마 조만간 그녀의 최고작이 나오게 될 것 같다는 느낌이다.
나는 그 타이밍이 바로 이 작품이길 바랬지만 약간은 어긋난 느낌이다.
그러나 이제 워밍업은 완전히 끝난 듯 보인다.
몸을 충분히 풀어놓으면 이제 그라운드 위에서 뛰어다닐 일만 남았다.
이제는 훨훨 날아오를 타이밍이다. 이것 하나만큼은 장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