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평가하는 기준이 '재미'에 있다면 이 소설은 100점 짜리 소설이다.
소설을 평가하는 기준이 '깊이'에 있다면 이 소설은 100점 짜리 소설이다.
소설을 평가하는 기준이 '여운'에 있다면 이 소설은 100점 짜리 소설이다.

 
야구로 치자면 이 소설은 9회말 투아웃 상황에서의 역전만루홈런이고,
농구로 치자면 종료 휘슬과 함께 터진 버져비터이며,
축구로 치자면 후반전 인저리 타임 때 터진 35m 역전 중거리슛이다.
 

100점 짜리 소설.
 

세상에 이보다 주관적인 말이 또 있을까 싶은 이 단어를
거침없이, 아무 거리낌 없이 말할 수 있는 소설,
그게 바로 내가 생각하는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다.
 

일단 이 소설은 미친듯이 재밌다.
그것이 이 소설이 100점 짜리인 첫 번째 이유다.

 
참고로 말하자면, 나는 야구를 싫어한다.
축구를 너무 좋아해서 야구를 싫어하는 것인지
태어날 때부터 야구에 관심이 없었던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는 축구를 사랑하는 100만분의 1의 애정도 야구에 대해 갖고 있지 않으며,
야구의 룰도 모른다. 그저 한국 프로야구 팀에 누가누가 있다, 라는 정도밖에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년 프로야구를 소재로 한
이 소설만큼은 눈물이 날 정도로 재밌있게 읽었다.
비록 야구의 규칙도 모르고, 그들의 세계에 대해서는 더더욱 모르는 나지만
삼미슈퍼스타즈를 추억하는 그들의 이야기는 그 어떤 소재보다도 흥미로웠다.
이 소설이 재미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작가의 독창적인 글솜씨 때문일 것이다.
(세상에 겉멋 들이지 않고 이렇게 글을 맛깔나게 쓰는 국내 작가는
천명관 정도를 제외하곤 나는 도통 보지 못했다.)

 

그러나 단순히 삼미 슈퍼스타즈의 어린이 팬클럽 시절을 추억하는 회고담에 그쳤다면
이 소설은 100점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하나의 수필에 머물었을테지.
하지만 이 소설은 유년기 삼미 슈퍼스타즈이 강렬한 추억 어딘가의 기억점을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서 절묘하게 교차시킨다.
 

삼미 슈퍼스타즈를 통해 사회적 모순을 들여다보는 장장 10여 페이지에 달하는
허무맹랑한 상상력이 단순히 우스갯소리로 생각되지 않는 이유는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꼴찌 구단과 사회를 하나로 묶는 작가의 솜씨가
그야말로 혀를 내두를 정도로 절묘하기 때문이다.
 

'나'는 삼미를 통해 그 어린 시절 OB베어스 어린이 팬클럽 앞에서
인생 처음으로 굴욕이란 감정을 느꼈고,
삼미를 통해 인생의 허무함과 자살이란 충동적 감정을 느꼈다.
단지 프로의 세상에 뛰어든 아마추어를 사랑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야구를 통해 바라보는 세상의 움직임, 그 절묘한 통찰력.
이것이 이 소설이 100점 짜리일 수 있는 두 번째 이유다.

작가 박민규는 삼미의 기억을 '현재'까지 끌어올린다.
통속적인 소설들이었다면 '현대 생활에 찌든 가장이
삼미 슈퍼스타즈를 좋아한 옛 기억을 떠올리며 힘을 얻는다'
정도에서 끝났을 이야기를, 박민규는 극한까지 끌어올린다.

 
'나'를 바닥까지 떨어뜨려놓고, 어린 날 '나'의 별이었던 삼미를 통해 '구원'을 얻게 한다.
하지만 여기서 삼미는 메시아적인 존재가 아닌, '삶의 대안' 중 하나일 뿐이다.
결국, 삼미 슈퍼스타즈의 팬클럽을 결성했다는 것 말고는
'나'의 사회적 위치는 아무 것도 달라진 게 없다.
단지 "그저 달리기만 하기에는 우리의 삶은 너무도 아름다운 것"이라는
사소한 생각의 전환 정도를 제외하고 말이다.
이러한 '생각의 전환'이 비록 사회적인 나의 위치를 변화시키지는 못하겠지만,
단순히 사회적인 가치로 환원될 수 없는 더 큰 '재산'을 얻었다. 
이 얼마나 진부한 이야기인가!!!!!!!!!


그러나 이러한 진부함이 여느 이야깃거리들과 다르게
사람들 마음 속에 깊이 박혀 '여운'을 줄 수있는 이유는
이 이야기는 그저 '삼미 슈퍼스타즈의 팬클럽 회원'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유없이 멸시와 조롱을 받아야 했던 한 어린이(=우리)의 깨달음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것은 우리의 이야기다.
이름만 다를 뿐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들은
가슴 속에 나조차도 모르는 '삼미'라는 낙인을 달고 살았다.
'삼미'는 우리 몸뚱아리의 일부였고, 그게 당연한 줄만 알았다.

 
당연했겠지. 중산층이란 허울 좋은 담론을 만들어내어
개같이 일하고 쓰러질 때까지 일해도,
그의 반에 반도 노력하지 않는 '그들'에 의해 
고작 '중'이라는 평가 외에는 받을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우리 마음 속의 '삼미'는 꾹꾹 눌러져 있을 수밖에 없었을테니.

 
이건 소설 속 조성훈이 '나'에게 삼미 슈퍼스타즈에 대한 교리를
설파했던 것 만큼 허무맹랑한 이야기다? 아니다. 아니 맞나? 모르겠다.
어차피 세상은 삼미 슈퍼스타즈의 '음모론' 만큼 허무맹랑한 거 아니었나?

 
이것이 내가 이 작품을 100점 짜리라고 생각하는 세 번째 이유다.
그게 나와 같은 생각이건, 다른 생각이건 어떤 식으로든
이 소설을 읽으면 처음의 유쾌함과는 다르게 마지막 장을 덮을 땐
그 누구라도 무엇인가가 잔상처럼 남을 것이다. 

 
이 글의 모든 부분은 지극히 주관적이지만 이것 하나만큼은 장담할 수 있다.
마지막 장을 덮고, 몇 시간이 됐건, 며칠이 됐건, 몇년이 됐건
당신은 생각할 것이다. 그 어떤 것이든지.

 
이정도면 100점 짜리 소설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되지 않나?

 
ps. 주관적인 평가를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 소설은 내가 읽은 최고의 성장 소설 중 하나다.
난 이 소설을 읽고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읽었을 때만큼의 깊은 충격을 받았다. 정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