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프로이트와 융이란다.

그래서 샀다.

살인 사건이 일어났고

우연한 기회에 살인 사건의 희생자가 될 뻔했던 한 여인을 영거라는 젊은 의사가

정신분석학적 접근으로 치료해 보려 한다.

그러나 사실 이 이야기는 그냥 범죄 추리 소설과 다를 바 없다.

단편적으로 프로이트의 학문이 고개를 내밀지만

제목 그대로 살인을 해석하기엔 너무나도 부족하다.

연쇄 살인적인 면을 다루는가 하면 말도 안 되는 검시관이 나오고

정작 모든 범행의 조종자는 엉뚱한 데서 나오는데 그것 조차도 크게 설득력이 없다.

노라에 대한 영거의 접근은 과연 작가가 정신 분석학을 정확히 이해하고 썼는가

싶을 만큼 엉성하고 이론적으로 허술하다.

프로이트의 역할과 그의 조언도 독자의 수준과 거의 일치할 뿐 탁월하지 않다.

게다가  프로이트와 융의 갈등은 오디푸스콤플렉스를 설명하기 위해 굳이 넣어 놓은

사족처럼 느껴져 깔끔하지 않았다.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지만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는 것은 300페이지는 넘어서이다.

그런에도 간혹간혹 독자를 감질나게 하는 부분이 있어 이책을 끝까지 읽게 한다.

또 하나 소설 속에서 그나마 가장 큰 액션인 잠함에 갖혔다가 탈출하는 부분은

 다이하드 2에서 하수구에서 지상으로

물과함께 뿜어져 나온 주인공 이야기와 아주 유사해 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