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과 그리스도인의 삶 -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윤리적, 선교적 함의
스캇 맥나이트.조지프 모디카 지음, 최현만 옮김 / 에클레시아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울에 관한 옛 관점과 새 관점의 쟁점은 유대교를 이해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시작된다. 옛 관점은 유대교를 행위에 기초한 종교 체계로 보는 반면 새 관점은 유대교를 언약적 신율주의로 설명한다. 곧 유대교 안에서 개인의 구원은 언약적 선택을 통해 이미 이루어졌으며, 도리어 율법은 선택된 백성이 성지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가르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새 관점의 견지로 볼 때, 사도 바울이 싸웠다고 생각했던 옛 관점의 유대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바울에 대한 이해로부터 그리스도인의 삶을 바라보는 틀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안목을 제시한다.

본서의 부제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윤리적, 선교적 함의이다. 새 관점의 견지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라는 질문으로 그리스도인의 삶과 교회 생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옛 관점은 종교개혁 시대의 구원론에 대한 관심에서 발달하여 이신칭의라는 귀한 가치를 되찾았다. 그러나 칭의 교리를 중심에 둔 개신교 조직신학을 중시하다 보니, 바울의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내러티브 신학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경향이 있었다. 새 관점은 이런 측면에서 옛 관점의 부족한 점을 보완 발전시킨다. 곧 성령신학의 이해를 풍성히 하며, 개인 구원을 넘어 교회 공동체라는 상황 안에서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부각시킨다.

새 관점이라는 이름은 이전의 바울 신학이 견지해온 관점을 옛 관점으로 차별화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덕분에 독자는 성경을 해석함에 있어 두 개의 관점 중 하나의 관점을 선택해야만 하는 듯한 인상을 주었고, 이는 어느 관점이 더 정확한가에 대한 치열한 논쟁을 불러왔다. 그러나 몇 몇 필자들도 강조하듯이 바울에 대한 옛 관점과 새 관점은 취사선택의 문제가 아닌 듯 하다. 1세기 유대교에는 언약적 신율주의와 율법주의가 어느 정도 공존하고 있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며 바울 서신을 읽을 때, 보다 더 잘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만일 새 관점에 대한 선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된다면, 스캇 맥나이트의 글을 먼저 읽을 것을 추천한다. 간략하기는 하지만 옛 관점과 새 관점의 연구사를 친절하게 집어줌으로 초보자들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