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밤새 읽는 식물학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박현아 옮김, 류충민 감수 / 더숲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점점 자연이 좋아진다. 옛날에는 크게 관심이 없던 식물들이 요즘 내 눈을 사로잡는다. 로컬푸드에 장을 보러 갔다가 예쁜 화분 눈에 띄어서 하나둘씩 사 모으기 시작했더니 벌써 베란다 한쪽 면을 꽉 채우게 되었다. 관리를 해준다고 하는데 부쩍부쩍 잘 자라는 것도 있고, 오자마자 죽어버리는 것도 있고 생김새처럼 화분의 특성도 가지가지이다. 식물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면 화분을 더 잘 키우게 되지 않을까 해서 좋은 기회에 읽게 된 책이 바로 이 책,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식물학 이야기>이다.

청소년 과학 베스트셀러 재밌밤시리즈 중 한 권이라 얼핏 청소년 책이라면 약간 어른들이 읽기에 너무 쉽거나 가볍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 책을 읽고 지식을 쌓는 데에는 남녀노소가 없는 것 같다. 이 책 역시 표면적으로는 청소년 책에 속할지 모르나 책의 내용은 내가 모르는 식물학의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었다. 책을 살펴보자면, 책의 1장에는 식물의 대단한 이야기, 2장에는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식물학, 3장에는 단숨에 읽는 식물 이야기 가 있다. 파트별로 나누어져 있긴 하지만 식물이라는 주제로 일맥상통함으로 언제 어느 면을 펼쳐서 읽어도 식물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읽어볼 수 있다. 내가 흥미롭게 읽었던 부분은 당근과 무의 차이점이다. 색깔을 칠하지 않으면 비슷한데, 당근은 가로에 선이 나있다. 이것은 이것은 가는 뿌리가 자라났던 흔적이다. 무는 점들을 세로로 나열하면 무처럼 보인다. 무와 당근을 단면으로 잘라보면 당근에는 명확한 동심원이 있다. 물을 운반하는 '물관부'가 있고 바깥쪽은 영양분을 운반하는 '체관부'가 있다. 하지만 무는 이 같은 형성층이 껍질과 매우 가까이 있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쌍떡잎식물의 특징이다. 이 책에는 이 외에도 바나나에는 씨가 없다는 사실, 식물이 움직이지 않는 이유, 식물도 혈액형이 있을까 같은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이 잔뜩 들어있다.

옛말에 아는 만큼 보인다고 식물의 이야기를 알면 알수록 더 흥미로워 보이고 자연의 대단함을 느끼게 된다. 식물학이라는 것이 일부러 알고자 하기 전에는 잘 접하기 힘든 학문인데, 이런 책들을 통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식물학을 접해보고 식물학의 즐거움에 빠져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