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나님사람의 선명한 기준 - Compact Books, Standards of Godly Man
전병욱 지음 / 규장(규장문화사)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아내의 직장 후배가 선물로 준 책이다.
전병욱 목사의 설교는 들어봤으나 책은 본 적이 없어서 읽어보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참 규장에서 출판할 만한 책이라 생각했다(성공,성공,성공…)

전병욱 목사의 설교비평을 하셨던 정용섭 목사의 말처럼 “이건 설교가 아니라 처세술, 또는 인간관계 강좌에 불과하다”. 여기에 내가 덧붙이고 싶은 얘기는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마치 학원강사가 시험을 앞둔 학생들에게 시험정보를 알려주려고 닥달하는 모습이 연상되었다.

“옳은 말이 곧 옳은 설교는 아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설교는 지당한 말의 선전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 말씀의 선포이어야 한다. 둘째, 설교는 부분적으로는 옳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잘못될 수 있다.”(정용섭 목사의 설교 비평)

하나님사람의 기준이 선명하고 그래서 이런 기준이나 원리들로만 살면 된다는 식의 단순성이 듣는 예배자나 독자에게 시원함을 줄 수는 있으나 이런 설교는 신앙생활 가운데 허무함과 가난함에 빠지게 만드는 설교가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일조를 넘어서
조누가 지음 / 아침바다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십일조를 넘어서

이 책에서 저자는 <십일조의 혁명>을 쓴 박민흥 목사와 함께 한국교회 폐단의 일차적 원인이 된 십일조의 변질로 인해 책을 쓰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다수의 한국교회가 주장하고 있는 십일조의 정당함을 성경을 통해 반박하고 십일조에 대한 재해석을 하고 있다. 

성경에서 십일조는 성전을 섬기는 레위인들과 가난한 자(과부, 고아, 나그네등)에게 나누어 줄 수 있도록 의도된 명령이었다. 

한국교회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말라기서를 통해 십일조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십일조에 대한 그 당시 제사장들에 대한 부패를 지적하고 거룩케 하는 제사를 담당하는 제사장들이 중심을 가지고 정직하며 거룩해야 백성들이 하나님을 속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십일조가 율법이었던 구약 시대나 현재의 우리에게나 십일조의 목적과 의도는 바치는 자(구약백성, 성도)의 정직함과 의무감보다는 일차적으로 그 물질을 받는 자(제사장, 목회자 및 총회)의 정직함과 유용성을 하나님은 보신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역을 통해 율법은 폐기되었으므로 율법시대에 제정된 십일조의 법은 지키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성경을 해석하였다.  

또한 초대교회시대에는 십일조가 의무사항이 아니었으며 교회의 재정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실시한 연보를 통해 사역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한국교회가 십일조라는 이름을 없앨 것을 과감히 선포하고, 다른 방법을 통하여 교회 재정을 채우고 교회 유지 및 복음전도 사역에만 묶여 사회적 약자를 외면하지 않는 교회로 탈바꿈하기를 요청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저자의 주장이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쉬워 보이지 않는다. 맘모니즘의 시대에 교회가 재정에서 독립적이고 자유로울 수 있는 교회는 없어보인다. 하지만 초대교회로 돌아가자는 한국교회의 외침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십일조를 통해 의도하신 하나님의 뜻을 이행하지 못한다면 그런 외침은 외침으로만 끝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빈주의, 라스베가스 공항을 가다
리처드 마우 지음, 김동규 옮김 / SFC출판부(학생신앙운동출판부)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빈주의자여! 세상을 향해 마음을 열어놓고 대화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심 IVP 모던 클래식스 9
짐 월리스 지음, 정모세 옮김 / IVP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의 우리의 삶이 얼마나 가난과 폭력을 방관하고 있는지 반성케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