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김열규 교수의 열정적 책 읽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 기대했던 것은  장정일의 공부와 같은 서평이라든가, 아니면 독서론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런데 읽고보니 이 책은 인생론에 가까운 것 같다.
 

 할머니의 이바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된 독서의 편력이 저자를 어떻게 만들어 왔는가에 대해 회고하는 글이다. 일제시대와 전쟁의 암울한 시기에도 계속 책을 구하고 읽고, 인격을 완성해나가고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과정을 시대별 읽었던 책,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내고 있다. 즉 어떤 책이 특정 시기에 자신에게 끼친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중간에 독서론에 대한 얘기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 인간이 인격을 완성해내기 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는 인생론 책인 것이다.

 

 책이 저자를 만들어 낸 것인지, 저자가 책을 흡수한 것인지 잘 모를 정도로 책과 저자는 하나이다. 그 서술 과정에서 책이 우리에게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게 한다. - 그 어려운 시기를 생각해보면 사실 책이 저자를 선택한 것이리라...

 

 죠셉 캠벨이란 신화학자를 아는지... 그는 암울한 대공황의 시기에 자신이 신화를 공부하고 싶다는 것을 알고 시골에 집을 하나 구하고, 도서관에서 끊임없이 책을 빌려 읽었다고 한다. 어려운 시기에 저자도 끊임없는 독서를 통해 한국학의 석학이 되었다고 한다. 한국의 죠셉 캠벨이라 칭할만 하진 않을지...

 

 좋아하는 일을 찾지 못하고 있거나, 좋아하는 일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아니면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사람도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