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80 열하 1
임종욱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연암과 정진사의 장면이 나오면 열하일기를 읽고 싶은 강렬한 욕망에 휩싸였다. 아마도 열하일기에 있었던 내용 - 만리장성에 글을 쓴다든지, 북경을 헤매는 것 따위의 - 을 새로운 배경에서 서술해서 썼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열하일기에서 살인사건이 있었는지, 종복이 왕부에 잡혀갔는지 - 아마도 아니겠지만... - 를 확인하고 싶은 욕구가 계속 솟아나왔다. 이것은 저자가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했고, 그 시대와 잘 녹아든 서사를 했다는 뜻일거다.
실제 역사에서 모티브를 따 와서인지, 역사에서 실제로 있었을 것 같은, 꼭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도록 잘 짜여져있다. 특히 건륭유보를 찾아 나서는 현재의 정문탁의 모험이 현장감 있고, 독자를 빠져들 수 있게 하는 것 같다.
하지만, 개연성의 문제에서는 조금 고개를 가로젓게 된다. 열하의 주인공인 정진사의 역할이 뭔지, 왜 남녀 주인공이 맺어졌는지, 왜 사건이 그렇게 전개되어 조약을 맺을 수 있었는지, 동감이 잘 안된다. 또 현대의 다른 주인공들인 조형사의 얘기들은 왜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 집중력을 흐리는 쓸데없는 서사가 아닌가 싶다. 두 주인공의 관계도 비현실적이고, 그들의 만남도 이해가 되질 않는다.
다만 건륭시대의 새로운 면을 잘 묘사한 것 같다. 열하일기는 아마도 청의 전성시대의 화려한 모습을 많이 보여줬을 것 같다. 하지만 1780 열하는 그 전성시대의 내면을 바라봄으로써 모래성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성군으로 묘사되는 건륭제도 현명할지는 모르지만, 많이 허영적인 모습으로 묘사된 듯 하다.
허구적인 인물이 역사를 헤메고 있는, 가상의 역사소설의 역할은 그 시대에 독자를 있게 하거나,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 소설은 두 가지 면을 다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역할을 다 이룬 것 같다. 그 깊이가 그리 깊지 않은 것이 조금 불만이긴 하지만, 소설에서 설명을 바라는 내 잘못된 욕심 때문인 것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