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 공화국
강수돌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현대 대한민국 국민이 앓고 있는 다양한 중독증후군을 정치하게 기술한 책이다. 저자가 들고 있는 증상도 실로 다양하여, 예컨대 스마트폰중독부터 시작해서 쇼핑중독, 성형중독, 일중독. 학교중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중독현상을 알뜰하게 지적하고 있다.

나는 이 모든 중독에 공통으로 내재하고 있는 원동력을 뇌화(腦化) 사회뇌에 치우친 사회라고 부르고 싶다. ‘뇌화 사회는 중독 대상이 무엇이든지 간에 폭주하기 마련이다.

이에 반해 신체는 결코 폭주하지 않는다. 때때로 찰나의 신체적 쾌락을 추구하다가 그만 회사동료와 불륜을 저지르고 말았다!!”와 같은 표현을 신문 기사 등에서 볼 때가 있는데, 이것만큼 언어사용이 잘못된 예도 없다.

신체는 결코 찰나의 쾌락 같은 것 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찰나의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뇌다.

술과 담배와 마약은 ‘drug’이다. ‘drug’향정신제(向精神剤)’를 의미하지 향신체제(向身体剤)’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 책에서도 등장하고 있는 성중독즉 섹스의 쾌락도 그 95%는 뇌에서 유래한다. 만약 섹스의 쾌락이 신체적이라고 하면 포르노그래피누드사진에 대한 수요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미식(美食)의 쾌락 또한 섹스정도는 아니지만 환상적이다. ‘진미가 순수하게 신체적인 경험이라고 하면 과식도 그렇고 거식도 있을 리가 없다. ‘다이어트를 예로 들어보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뇌는 찰나의 쾌락’(날씬하게 보이는 것)을 위해 음식 섭취 거부를 명령하지만, 신체는 배고픔으로 비명을 지르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신체적 쾌락’(예컨대 성형중독)이라고 부르는 것은 거의 모두가 특정한 신체적 경험에 과잉의 의미부여를 하는 뇌의 활동의 효과라고 보는 것이 사태의 진상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 신체적쾌락이란 역으로 마음의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라든지 시선이라든지 손가락 끝에 담겨 있는 상냥함배려는 신체로 다이렉트로 들어온다. 거기에는 나의 개체로서의 생존과 안전에 플러스가 되는 것이 확실한 형태를 띠고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냥함배려영양분산소와 똑같이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서 신체가 필요로 하는 것이다. 뇌는 그런 것 필요치 않는다.

뇌는 자신밖에 흥미가 없다. 뇌가 타자를 추구한다고 해도 그것은 지배(기업)하고, 복종(관계중독)시키고, 향유(성형중독)하고 소비(재물중독/쇼핑중독)하는 것뿐이다.

인간이 인간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뇌의 이성에 의해 신체의 야성 혹은 수성(獣性)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 어디서나 상투어로 등장한다.

나는 오랫동안 이 말에 수긍할 수가 없었다.

오히려 인간이 인간적으로 되는 데 필요한 것은 뇌의 폭주를 신체적 규범을 통해 통제하는 것이 아닐까?

착각해서는 안 되어서 급히 첨언하자면 나는 뇌의 폭주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 나의 뇌는 지금 격하게 폭주해서 이 글을 쓰고 있다.

신체와 타자의 모습을 의미로서 파지(把持)할 수 있는 것은 뇌뿐이다.

뇌의 너무 과격한 활동은 인간존재에게 좀 그렇지 않은가?”하는 소급적인 자기반성혹은 자기언급을 할 수 있는 것은 뇌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는 너무나도 과격하다. 그래서 다들 중독에 빠지는 것이다.

뇌는 기본적인 성향으로서 자기보존보다도 자기손상으로 향한다. 안정보다도 파괴를 선호한다.

그래서 뭔가뇌를 통제하지 않으면 우리는 살아갈 수가 없다.

신체는 그것을 위한 억제적 기능이다.

신체가 뇌를 통제한다’.

이런 식으로 세상일에 대해 고쳐 생각하면 꽤 풍경은 다르게 보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