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 초등 수학 6-1 (2020년) - 개정 교육과정 완벽 반영 초등 최상위 수학 (2020년)
디딤돌 편집부 엮음 / 디딤돌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SE-47c5cc47-c6b5-485b-bcb9-844c4c011bf2.jpg


방학때 초등6학년 수학개념에 대해 예습겸해서 문제집을 풀다보면 부지런하게 풀었을 경우 이쯤 되면~ 수학문제집 하나는 끝나더라고요. 저희 아이 주변 친구들도 보면 집에서 혼공하는 친구들은 초등수학기본 혹은 초등수학기본+응용과도 같은 개념서를 한 학기 동안 충실하게 풀기도 해요. 음~ 저희집은 ㅋㅋ 공부는 뒷전이고 워낙 노는집이다보니 계획은 항상 이쯤이면 다 끝내야지~였는데 학교 다니다보면 노느라 바빠서 문제집 다 못풀고 있을 즈음인데요. 이번 코로나19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인지 학교를 다니지 않고 집에만 있다보니 아무래도 조금 더 수월하게 공부하게 되는 것 같아요.


저흰 방학땐 좀 공부 좀 하고, 학기중엔 학교 공부 잘 하는데 충실하자...가 컨셉인데 개학은 했지만 학교수업이 금방이다보니 아무래도 예전보다 더 공부는 안하면서도??? 그래도 많이 풀어냈네요.


음...선행을 많이 하던 아이가 아니라서, 사실 수학심화문제집 풀지말고 그냥 빨리 중학교 공부로 넘어갈까? 이런 생각도 했지만, 그래도 끝마무리까지 해줘야 하겠지요? 선배맘들의 추천도 그러해서 그냥 중등 선행을 빨리다가지 말고 해야할 것을 충실히 하자..로 마음을 바꿨어요. 



SE-a427206d-6d41-4abd-b93c-2e46803e4c50.jpg


디딤돌 초등6학년 수학의 최상위수학도 8주나 12주의 2달, 혹은 3개월 과정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저흰 그냥 ㅋㅋ 체크 안하고 진행하고 있어요. 습관좀 잡아주면 좋을 텐데 말이에요. 


음~ 저희 집에서는 유짱은 교재에 나와있는 스케줄 말고, 주말을 포함해서 그냥 1단원은 1주일 내로 끝내기...로 4주~6주정도의 스케줄로 보통 진행해요. 주말에 쉬고~ 이런것보다 쭉~ 이어가고 끝내고 자유! 시간을 만끽하개 해주는게 더 좋더라고요.



SE-71d2c920-a075-46d1-bfaa-6ea3bf726812.jpg


초등 6학년 수학의 1학기 단원은 확실히 2학기 내용과 맞물려 있는 것 같아요. 중학교 가기전 전 학년의 학업을 정리하는 단계일까요? 


분수의 나눗셈, 각기둥과 각뿔, 소수의 나눗셈, 비와비율, 여러가지그래픔,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등등...2학기와도 고스란히 연결되어 있어서, 저희는 1학기 교재랑 2학기 교재는 좀 섞어가면서 함께 진행을 했어서 6학년 전체를 섞어 공부하고 있었어요.


디딤돌 초등수학기본+응용 6학년 1학기 교재는 다 풀고, 2학기 교재는 일부는 끝내고 최상위수학으로 1학기의 수학심화문제집 공부를 진행하고 있어요. 2학기 교재라서 작년출간된 책으로 공부했었는데요. 어느새 5월이니 최상위수학 6학년 2학기 도서는 서점에서 금새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요. 빨리 사서 풀어야 겠죠?


SE-86b197e0-75fb-4136-85eb-066f6fb4d1af.jpg


분수의 나눗셈과 각기둥과 각뿔은 무리없이 진행되었어요.


지금 초등6학년인 우리 유짱은 학교에 가진 않지만 집에서 화상수업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어요. 사실 학교공부는 엄마나 아빠가 절대 터치 없이 알아서 착착 진행하는게 우리집 기본! 슬쩍 보니 지금 2단원의 각기둥과 각뿔을 진도 나가고 있는것 같아요. 


이미 수학심화문제집으로 최상위수학까지 끝냈기에 동영상 수업듣고, 수업배운 내용 노트정리하고 익힘책 숙제까지 하는 학교출석보고는 "껌이지 껌~" 이라고 일사천리 해치우더라고요. 그런데 ㅋ 자꾸 소수의 나눗셈에서 오류가 생겨서..엄마와 아빠가 눈 크게 뜨고 요즘 봐주고 있답니다.


지금 아이가 초등 6학년이 되기까지, 사실 아빠는 아이학습에 참여한 적이 없었어요. 단지 엄마와 아이가 하는 활동에 딴지걸지 않기. 응원만 해주기. 혹은 엄마가 과학게 감정이 이입되어 화를 내거나 할때 엄마 다독이기 등등...아이 학습을 사교육 없이 진행하는데 엄마에게 협력자의 역할만 해주던 아빤데, 엄마도 바쁘고 아이 공부 봐줄 체력이 부족하다보니, 올해부터는 적극적으로 아이 공부 함께 봐주고 있답니다. 


왜 이리 아빠랑 공부할때 그리 둘이 싸움이 부쩍 나는지 ㅋㅋ 역시 엄마표? 쉬운거 아니더라고요. 수년이 지나고 나서 지금 아이아빠의 모습을 보니 참...못 도와주는구나..싶기도 하고. 나도 모르게 엄마표 잔뼈가 굵어져 있었구나. 한번도 내 엄마표에 만족한 적이 없었지만, 나 그리...실패한 엄마표는 아니었겠구나..라는 뿌듯함도 함께 느낄 수 있는 요즘입니다.


SE-224d5771-a22a-480b-94a9-4fb05e219b20.jpg


그냥 문제만 잔뜩 주고 패턴화 되는 수학공부가 아닌, 원리를 파악하게 하고, 스스로의 깨달음으로 원리를 깨우치게 하는 수학심화문제집! 그래서 더더욱 아이가 고학년이 된 이후로 디딤돌 최상위수학문제집은 놓지 못하겠는 매력이 있겠지요?


SE-4280e45b-a077-44ac-9187-d69eff39ee71.jpg


엄마나 아빠가 봐주지 않으면 아마도 그냥 빨리 대충 문제만 풀어버리고 공부책 덮어버리고 싶은게 아이들 마음이잖아요. 하지만 꼼꼼히 글 하나하나 이야기 속에서 배울 수 있는 수학원리를 버리지 않고 찾아 읽는 것도 문제 몇문제 더 푸는 것만큼 소중한 시간이라는 사실! 


주변에서도 이제 아이들이 고학년이 되다보니 집표나 혼공은 말도 안된다며 학원으로 빠지는게 현실인데요. 아이의 수학실력이 뛰어난 것이 아니어도, 디딤돌 최상위수학처럼 학원에서도 필독서로 쓸만큼 좋은 도서들을 집에서도 충실히 공부하면 학원못지 않게 초등수학 공부는 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SE-96d3814c-0a9f-4f63-a141-024fd70884f2.jpg


SE-c5a0dd86-2cec-4e69-954f-7d0266528a84.jpg


SE-d6e77580-1753-4a06-9a5f-8458c2939088.jpg


배운 원리를 응용한 기초적인 문제들로 다시한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을 판단할 수 있어요. 음...3~4학년때는 이렇게 앞 쪽 베이직 문제는 안풀었는데 고학년이 될수록 사실 놓치지 못하고 모두 풀리게 되더라고요. 이것도 엄마 욕심이겠지만요. 


SE-ef6269d2-e5d9-455e-badb-c875f3972fb1.jpg


친구들과 함께 학원을 다니는게 아니다보니, 아무래도 아이 학습 평가가 아이가 하는 것으로 판단해야해서 인가봐요. 조급한 마음을 가지 말자~라고 매일 결심하면서도 조급하게 하나 더틀렸나? 모르나? 이런 걱정이 앞서는 것을 보면 저도 어쩔 수 없는 도치맘.


SE-d5ebabe4-de5f-41a5-aadc-bbd23f2282a8.jpg


SE-daadbe79-cc21-4a52-954b-2cf2147b6f40.jpg


사칙연산이라고 무조건 연산이고 노가다처럼 손으로만 쓰는 수학이 아니다! 사고력의 개념도 설명하면서 어찌 머리로 계산 할까? 다양한 방법들과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교재라서 개념문제집과는 또다른 매력이 있는 디딤돌 최상위수학문제집이에요.


저희 아이 친구들 중에도 학원안다니고 공부방 자가학습이나 온라인 학습으로 공부하는 친구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저는 문제를 다 풀지는 못해도 한페이지에 한문제씩이라도 완벽하게 풀기 위해서라도 최상위수학문제집은 꼭 도전해보라고 추천을 많이 함니다만.... 학원표가 아닌 엄마들에게는 크게 와닿지 못한 것 같아요.


그런데 이번에 처음으로 아이 학습관리를 봐주기 시작한 아빠 왈, " 단순히 풀어~가 아니라 생각하게 하고, 이전에 배운 개념들과 학습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개념을 떠올려야 하며, 생각해야하고 연결하여 식과 답을 찾는 과정이 필요한 문제집 같아서, 보기엔 쉬운 것 같고 문제가 이리 적어? 라고 생각했었는데 꽤나 어려운 것을 아이가 풀고 있더라고!" 라고 제게 말을 하더라고요.


SE-2b48586a-1166-4938-b9fa-14aa574a7563.jpg


SE-3384763c-7618-409d-825f-f12a65df1cd1.jpg


SE-dd61f30a-d9b1-4e1c-85cf-b015bd9d0c7c.jpg


SE-357320b6-f1e3-4853-a786-2a2c7fd17a60.jpg


SE-ae584c32-44b0-4976-a7ad-ae297e027f63.jpg


SE-cd9ded6f-9eb0-495e-8bba-24e042fd20bf.jpg


여전히 오답들은 하나씩 나오고, 풀이식이 깔끔하지도 않고, 때론 연산에서 틀리기도, 소숫점의 자리값도 못찾아서 '으이구 멍청아~'라고 말하게도 되지만,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중요한 것임을 한번 더 아이에게 이야기 하고 있어요. 


아이도 그냥 일반적인 개념, 응용문제집과 다르게 '어떻게 풀어야하지?' "뭘 적어봐야하지?' 이런 고민이 든다고, 빨리 답만 찾아낼 수 있으면 좋겠는데...지금은 그게 아니죠. 한문제를 위해서 충분히 생각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스스로 깨닫는 것이 중요한 몬제집이라고 이야기를 나눠요.


엄마랑 공부할때도 그렇지만 아빠랑 공부할때도 마찬가지로 문제집 속에 수학적 낱말들을 체크해가면서 풀고 있으니 기특하죠? 


SE-817bc4a4-1262-43d0-834e-bc2ef33bada9.jpg


SE-daab61f1-5701-4cb3-a4d4-ff3835758755.jpg


SE-3cb987ed-b258-4baf-ab62-3e0f42cfc92d.jpg


SE-dd97fc92-dd79-45c5-8622-45f5ec1cefb3.jpg


SE-faaa9449-fc2e-4941-8370-77ccd0ac8e7a.jpg


1학년때부터 아이와 수학문제집을 풀때 문제를 꼼꼼하게 읽고 문제 속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파악하기, 주어진 정보를 자기것으로 만들기. 정확히 원하는 답을 파악하기 등을 연습해왔는데요. 이 내용은 고학년이 되어도 꼼꼼히 진행하는 것이 확실히 실수를 줄이는 길인 것 같아요.


SE-c0be3883-31f7-455d-9ebf-075f685b4c12.jpg


물론 아이가 답을 찾고보니 단위를 잘 파악하지 못해 틀리거나, 단순한 연산실수거나..한 것이 많이 보이지만, 덜렁이는 성격이기에 꼼꼼하게 보는 연습을 시켰던 것이 몇년이 지난 지금은 도움이 확실히 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겠더라고요.


SE-54009db1-7822-46c9-adfc-4571f292163c.jpg


최상위수학은 온라인 인강에서도 공부하면서 진행할 수 있는 교재인데요. 유료라서 싫다면, 레벨 업 문제들은 디딤돌 최상위수학 문제집 자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무료 문제풀이 동영상을 보며서 공부하기에도 좋아요.​


음~ 유짱은 3-4학년때는 좀 봤었는데, 이번엔 안보더라고요. 아이가 혹시 오답이 나오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는 아빠나 엄마도 함께 풀어보면서 '답을 찾아가는 노력'을 함께 해보면서 일부러 아이에게 끝까지 도전하자는 마음가짐을 주고 있어서요 ㅋ 이번엔 동영상 하나도 안보고 부모와 함께 풀기로 진행했어요. 


SE-ba4436c3-44bb-4fb4-9ec7-14d0cef2e899.jpg


풀이를 꼼꼼하게 적어서 공부하는 것을 몇년간 꼬셔도 워낙 덜렁이고 공부를 싫어하다보니 잘 되지 않아요. 하지만 중학교, 고등학교를 진행해올라가면서 이런 학습 습관은 필수 인것 같아서 때때로 꼼꼼하게 풀이과정을 적는 연습을 시키고 있는 디딤돌 최상위수학문제집 풀이입니다. 


SE-e945ee76-52a7-46cf-970b-d8c19572c58b.jpg


풀이노트도 단순하게 연산만 끼적이지 않고 생각하고, 그림이나 식으로 풀어내보며 공부하는 연습중이에요. 아빠가 공부를 봐줄땐 때론 공부하기 싫다고 글씨 개판으로 쓰고 끄적이다가 눈물콧물빼고 혼나기도 했다더라고요 하하핫...


SE-77253eaf-2511-4424-be50-0b181486066a.jpg


수학풀이노트라고 마구잡이로 풀어버릇 하다보면 자기의 오답을 검산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수학노트 정리는 아마 앞으로도 중학교3년기간 내내에도 훈련을 좀 시켜보려고 해요. 


SE-c28d288f-fa52-4856-8669-bb183d62a619.jpg


초등6학년수학문제집, 학교교과서와 수학익힘책, 초등수학기본과 최상위연산을 풀었고, 이젠 수학심화문제집으로 최상위수학까지 함께라면 어려울 것이 없을 것 같아요. 최상위수학은 중학교 가서도 꼭 풀어내고 싶더라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